-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06 주요 산림사업 재정성과관리 모니터링

목차
서론
사업별 모니터링 결과
모니터링 결과 종합
요약문
최근 들어 산림이 갖는 이산화탄소 흡수, 생물다양성 보전, 대기오염 정화, 수자원 보호 등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인간의 이해와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됨에 따라 국가 산림정책은 예전과 달리 산림자원의 관리와 활용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를 요구 받고 있다. 앞으로의 산림정책은 경제적 측면 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환경생태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인류를 위한 산림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여 생태적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경제적편익과 공익적 기능이 증진되도록 산림자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산림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계획된 8개분야 사업(소나무재선충병 방제사업, 산불피해지 조림복구사업, 민유림 경영계획 작성작업, 국유재산관리사업, 임업기능인 양성사업, 임산물 유통지원사업, 목재이용 가공지원사업, 녹색자금 지원자금)에 대해 사업비를 어떻게 배정하였고, 이를 어느정도 효율적으로 사용하였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performances of publicly financed projects of the forest sector. The main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is to reveal problems of allocating and utilizing public finances for the projects.
Eight major projects such as replanting trees after forest fires, promoting marketing of forest products, purchasing private forest lands for extending national forests, and training forest labors are selected and analysed.
Several problems in each project were revealed during the process of monitering and reported to the executive teams dealing the projects in Korean Forest Service. Most of revealed problems were fixed during the monitoring process, while some of them still remained unfixed.
Policy implications and proposals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major financed projects were provided for each project in addition.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8775
-
좋아요0
-
다운로드1
같은 분야 보고서
-
산림 인접지역의 효과적 산불 관리를 위한 개선과제
안현진2024.12.30KREI 보고서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손학기2023.12.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손학기2022.12.30KREI 보고서 -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구자춘2022.10.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 연구
안현진2022.10.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중국 김치· 당근의 생산· 유통· 수출 현황과 전망
- 이전글
- 임업관측사업 : 2006년 사업결과와 2007년 추진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