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미국 작물보험의 확대과정과 시사점

2006.12.01 36963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연구자료(D217)
  • 저자
    최경환
  • 등록일
    2006.12.01
  • 연구주제
    농촌사회및복지.
목차

제1장 서론 1
제2장 미국 작물보험의 발전과정 3
제3장 미국 작물보험의 현황
1. 농업보험의 사업실적 12
2. 농업보험 관련 재정부담 상황 15
3. 보험료 할인 계획 20
4. 시험사업(Pilot Program) 21
5. 농업보험과 정부지불의 관계 22
제4장 1990년대 중반 미국의 작물보험 확대 과정
1. 연도별 작물보험 확대 실태 23
2. 농업보험 시험사업의 발전(1995~2003) 28
3. 타당성 검토, 개발 및 평가 사업 34
4. FCIC의 보험 확대 노력 53
제5장 미국 작물보험 확대의 시사점
1. 농업보험을 농업위험관리의 주요 수단으로 57
2. 모든 작목을 검토 대상으로 57
3. 다양한 형태의 보험 상품을 개발 58
4. 민간업체들을 활용 58
5. 보험 확대의 단계적 접근 59
6. 지속적인 연구·개발 추진 61
7. 위험관리 교육의 강조 61
8. 정부의 적극적 관여 61
제6장 결론
1. 요약 63
2. 정책 제언 66
부표 69
부록. 작목별 타당성 검토 보고서 요약 75
Abstract 183
표차례 185
참고문헌 186

요약문

ㅇ The main purposes of this report are to review the expansion of crop insurance programs in the U.S. since 1938 and to investigate its implications to our country which has been implementing crop insurance from 2001. Especially, this report h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progress of the mid 1990s in which many programs had been developed in the U.S.
ㅇ From the U.S. experience of crop insurance, we can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s as the following:
- The U.S. government had given a greater weight on the crop insurance (including revenue insurance programs) among agricultural risk management policies supporting farmers facing several risks.
- All crops were included in conducting a feasibility study before proceeding to the next process on the basis of the study.
- Various insurance program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crops. The programs consisted of yield guaranteed, revenue guaranteed, and asset guaranteed ones.
- From the late 1990s, many entities (especially private insurance companies) have been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nsurance programs under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 The development process of crop insurance programs usually includes a feasibility study, program development, a pilot program, and evaluation and regulation. Generally, the normal process takes about 7.5~10 years. Through a step-by-step process, they aim to minimize unexpected errors.
-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new programs, current programs have been improved through continued R & D investment.
- Also, the Risk Management Agency (RMA), which is authorized to manage federal crop insurance, has been strengthening risk management education to help farmers deal with various risks during farming.
- Finally, the government has been substantially intervening in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crop insurance. It has subsidized farmers' premiums, assumed reinsurance, supported operating costs for private insurance companies, and reimbursed R & D expenses.
Researcher : Kyeong-Hwan Choi
E-mail Address : kyeong@krei.re.kr

저자정보
최경환Choi, Kyeonghwan
일용직
소속: 연우회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최경환Choi, Kyeonghwan
일용직
소속: 연우회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36963
  • 다운로드
    17
다음글
바이오매스 용어집 : “농업분야 바이오매스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전략” 자료집(Ⅱ)
이전글
선진국 농업부문 바이오매스 이용활성화 정책과 시사 : “농업분야 바이오매스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전략” 자료집(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