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친환경농산물의 거래 특성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범위와 방법 3
4. 기존 연구 검토 5
제2장 친환경농산물 시장 및 상품 특성과 유통의 전개과정
1. 친환경농산물 시장의 형성 배경 7
2. 친환경농산물의 상품 특성 9
3. 친환경농산물 유통의 전개 과정과 특징 10
제3장 친환경농산물 푸드시스템 분석
1. 친환경농산물 푸드시스템 분석 방법 19
2. 친환경농산물 푸드시스템의 연쇄구조 22
3. 친환경농산물 푸드시스템의 경쟁구조 34
제4장 친환경농산물의 가격결정과 품질조정
1. 친환경농산물의 거래 형태와 가격결정 44
2. 친환경농산물의 거래 형태와 가격결정의 특징 50
3.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조정 52
4. 친환경농산물 가격과 품질의 수직적 관계 54
제5장 친환경농산물 거래의 의의와 과제
1. 친환경농산물 푸드시스템 분석 결과 57
2. 친환경농산물 가격결정과 품질조정의 의의와 과제 59
제6장 요약 및 결론 67
Abstract 74
표·그림 차례 75
참고 문헌 77
요약문
친환경농산물은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재배 방법이 도매시장에서 가격결정 조건으로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유통에 참여할 수밖에 없고 품질인증제라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고 나서야 전문유통업체가 참가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친환경농산물 유통은 서로 다른 유통주체가 생산 단계에서 소비단계까지 통합된 통합조직으로 존재하는 구조이다. 즉 생산에서 소매 또는 소비단계까지 거래는 통합조직 내의 거래이며 유통주체가 주도하는 전방 또는 후방통합된 통합조직으로 구성되고 거래상대도 특정되어 있는 폐쇄적인 구조이다.
친환경농산물의 가격결정은 생산자에게서 매입할 때 생산비를 기준으로 재생산 가능한 이윤과 유통비용을 합산한 비용을 거래당사자와 협의로 결정하는 협의가격, 생산비를 근거로 한 비용가산방식, 생산비를 근거로 생산자가 제시하는 가격을 상대교섭으로 거래하고 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친환경농산물은 생산비를 기초로 유통비용이 가산된 가격체계로서 생산자가 재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며 나아가 생산자의 생활을 보장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반면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에 대한 신뢰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합의를 이루거나 양자가 납득할 수 있는 인증제도, 직거래단체가 설정한 생산기준이나 교류활동, 공개된 인증생산자 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직접 생산자와 의견 교환하는 신뢰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조정은 사회적 합의로 결정된 인증제도를 기준으로 그것을 확인하고 더 나은 품질로 개선하려는 생산자ㆍ소비자가 직접 교류하거나 기술(인터넷)을 이용하여 양방향의 의사를 전달하는 형태이다. 그에 따라 안전한 품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적극적인 행위로 인해 생산자가 소비자의 생명을 인식하고 배려하도록 한다.
친환경농산물의 가격결정과 품질조정의 과정에서 판매측이 구매측에게 제공하는 것은 생산 및 유통 정보와 가격제시이고 구매측이 판매측을 평가하는 방법은 품질 신뢰와 가격지불이다. 판매자가 제공하는 생산 및 유통 정보를 구매자가 신뢰하고 구매자가 지불한 가격으로 판매자의 판매행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농산물의 거래는 생산비에 기초한 가격결정(생산자의 생활보장)과 안전한 품질을 중시하며 양방향 의사소통을 기초로 품질조정(소비자의 생명보장)이 작동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생명윤리에 기초한 교환 시스템이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공생 관계임을 인식한 경제활동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가격과 품질조정을 매개로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건강장해를 일으키지 않는 농산물을 제공하는 것, 소비자는 그 대가로 생산자가 농업생산에 종사하며 생활할 수 있는 가격을 지불하는 것이 교환되는 것이다. 이것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공생관계임을 인식하는 경제행위이고 특히 농업생산과 소비의 지속성, 공동체의 지속성을 담보하는 기본조건이기도 하다.
By the environment-friendly(hereafter EF) agricultural policy and toward the safety food of consumers, there is much growing supply and demand for E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But, in general, EF agricultural products are known as unique, unreasonable and high price system.
This study aims to make clare the characteristics of dealings in EF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different from the agricultural products. The mail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armers and consumers directly participate in the distribution, and the major distributors participate in the market of EF agricultural products after the certification system is got ready. Because EF agricultural products is not dealt and the price system is not built up in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Secondly, the price of EF agricultural products is generally decided on the negotiation between producers and distributors. The price is based on production cost and plus the distribution cost and profit. So that, the price of EF agricultural products is meant that the producers can be reproduced the EF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living of producers can be maintained.
Thirdly, the confidence of quality in EF agricultural products is achieved by the mutual agreement between farmers and consumers and confidence system such as certification system, direct-deal and communication of the opinion among farmers and consumers. Such the adjustment in the quality of EF agricultural products is based on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further the farmers and consumers is promoting the adjustment of quality not only the certification system but also direct-deal and intercommunication using the internet. This is the adjustment of quality that farmers can be recognized and concerned the consumers life by consumers positive action of demanding the safety food.
Researchers: Jeong Eun-Mee
E-mail address: jeonge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36120
-
좋아요0
-
다운로드54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 : 농업부문
- 이전글
- OECD 정책평가모형 운영을 위한 기초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