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활성화 방안

목차
서론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기능과 역할
대구농산물도매시장의 현황
대구농산물도매시장의 주요 현안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발전 전략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타당성 분석
요약문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re-establishing the roles and functions of Daegu-si Bukbu agriculture and marin products wholesale market (henceforth Daegu wholesale market), preparing the plans for improving transaction institutes and a supervision and operation system, and providing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plan of facilities in order to confront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Daegu wholesale market and marketing environment.
Daegu wholesale market opened in 1998 and has the land of 166,716㎡ and the floor space of 95,784㎡. Daegu wholesale market is ranked third in the volume of transaction among 32 nationwide public agricultural products wholesale market and transacts the agricultural products of 385 thou. ton and the marine products of 18 thou. ton.
In Daegu wholesale market, five fruit and vegetable corporations and two marine products corporations operate as wholesale market companies. 316 agro-products intermediary wholesalers and 65 marine products intermediary wholesalers operate.
The transaction volume of Daegu wholesale market tends to decline over the past five years like many other public wholesale markets. This is due to poor environment for logistics, the growth of superstores and increasing direct purchase by them in producing areas, poor management of wholesale market companies and intermediary wholesalers, etc.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Daegu wholesale market are as following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logistics through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aggressive marketing based on the improvement of various market participants' management abilities; the expansion of marketing outlets such as small and medium retailers, restaurants, meal service enterprises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transaction institutes.
In the short-term, the improvement, of transaction institutes, such as the expansion of non-listed-for-auction-commodities and the partial introduction of the market wholesalers system are necessary. The relocation of facilities should be promoted for efficient logistics.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wholesale market companies and intermediary wholesalers should be improved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m should achiev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trict assessment standards.
In the medium- and long-term, moving Daegu wholesale market is necessary for overcoming the present problems. The sufficient land and isolated transaction district are essential for introducing the market wholesalers system. However, it is difficult to arrange it in the current limited area. It is estimated that if the modernization of facilities through the movement of Daegu wholesale market occurred, it would transact the vegetables of 313 thou. ton, the fruits of 59 thou. ton, and the fishery of 22 thou. ton. in 2017. The relocated Daegu wholesale market will need the land of about 400,000㎡ and the floor space of about 105,000㎡ and cost ₩199.5 billion. The economic analyses such as B/C analysis, IRR, NPV about the movement of Daegu wholesale market show that the movement is appropriate.
Researchers: Seung-Yong Gouk, Byung-Ryul Kim, Myoungki Lee, Kyung-Chool Cho.
Research period: 2006. 12. - 2007. 5.
E-mail address: gouksy@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3029
-
좋아요1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한·미 FTA 영향분석 및 국내대책 연구
- 이전글
- 산림통합관리시범권역 운용계획수립 : 요약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