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제천시 농업·농촌 중장기 발전계획

목차
서 론
대내외 농업여건 변화와 전망
제천시 농업·농촌 현황과 농산물 소비자 평가
제천시 농업정책 추진 평가
제천시 농정 개발수요 조사 분석
제천시 농업·농촌 비전과 정책과제
요약문
We performed a research project for the development plan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of Jecheon City located at Chungcheongbuk-Do. In particular, to cope with our opened domestic market of agricultural products along with the globalization trend and forthcoming several FTAs, we tried to establish comprehensive preplans of agricultural policies on the stand of Jecheon City. Also, one of our goals is to boost up Jecheon City's execution potential of agricultural policies utilizing the current or incoming natural and financial resources.
As the first step, we investigated the current natural resources within the whole region of Jecheon City to derive diverse demands on the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sector.
In our research, we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 and vision for the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As in-depth research, we exhibited several specialized items out of numerous agricultural products which could be the most appropriate for eight individual rural county under different pre-endowed conditions. Further, we performed several in-depth interviews with wholesalers in Garak Agricultural & Marine Products Wholesale Market to obtain their opinions and evaluations on key agricultural products from Jecheon City: Apple, Peach, Cauliflower, Broccoli, Western Style Radish Leaves, Cucumber, Dried Red Pepper, Herb(Hwang-Gi) etc.
We found several items had the comparative specialization potential in Jecheon such as apple, peach, cucumber, red bean. These items might have greater market potential as long as their product quality and marketing competence are well equipped.
As the result of our research, we proposed several agricultural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of Jecheon Agriculture. First, they need to expand the frontier of retail and wholesale market both inside and outside Jecheon for the key products. Second, expanding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ith a fortified marketing endeavor is essential. Third, the organization of key farmers must be cultivated under the opened market environment. Fourth, bottom-up Green Tourism should be expanded and vitalized to increase non-agricultural income. Fifth, the extention of welfare service such as the settlement environment for the silver (retired) generation should be enhanced in quality and the amenity of rurality should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Researchers: Byung-Ryul Kim, Si-Hyun Park, Seong-Cheon Seo, Myoungki Lee, Chanhee Rhew
E-mail: br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67637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지은행 활성화 및 유휴농지 관리방안 연구
- 이전글
- 신활력지역 지원사업 평가·성과측정을 위한 지표개발 및 향토산업 육성을 위한 체계적 지원 방안·평가지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