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지은행 활성화 및 유휴농지 관리방안 연구

목차
서 론
농지은행사업의 추진현황 및 평가
농지은행사업 설문조사 결과
외국의 농지은행제도
농지은행 활성화 방안
유휴농지 실태와 활용 및 관리방안
요약 및 결론
요약문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farmland banking system and come up with directions and practical ways to revitalize the farmland banking system. Furthermore, we examine the current management situation of abandoned or idle farmland and propose ways to improve management and use of this farmland.
Among the farmland banking enterprises, both 'farmland leasing enterprise' and 'farmland purchasing enterprise for management revival support' have received a good response from participants and gained high performance. The survey results from participants of the 'farmland leasing enterprise' revealed that tenants have shown higher satisfaction while landlords have had lower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indicating that most landlords reluctantly participate in the enterprise. The 'farmland purchasing enterprise for management revival support' has received a good response; however, many participants have pointed out some problems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enterprise.
A describabl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current farmland banking enterprises is to develop the farmland banking system as a new integrated farmland control organization. The roles of the new organization include control of farmland transactions and tenancy, promotion of increasing farmland in size, improvement of land use 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related with farmland. It is better to develop the current farmland banking system as an integrated control organization rather than to set up a new organization for controlling the land. In the 'farmland purchasing enterprise for management revival support,' the scheme of purchase and reselling at current market price should be replaced with that of purchase and reselling at standard prices.
Concerning the construction of an integrated land control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farmland system and expand its operations as the following: introduction of a registration system for farmland transactions and tenancy, a supporting system for direct land transactions, and a management system for abandoned farmland; and construction of a complete farmland information system.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developing the farmland banking system and managing abandoned farmland can be accomplished through the following: Firstly, 'projects for increasing farmland in size' are necessary to be included in the farmland banking enterprises. Secondly, the enterprise for purchase and reservation of farmland should be introduced as a farmland banking enterprise. Third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ject for arranging marginal farmland' by purchasing abandoned farmland through an enterprise for purchase and reservation of farmland.
The two methods for using and managing abandoned or idle farmland are as follows: One is to tak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abandoned or idle farmland. The specific measures are to expand the direct payment scheme to include dry fields. The other is to make the best use of abandoned or idle farmlands by classifying them into agricultural use and non-agricultural use. The agricultural use of abandoned or idle farmland includes improvement of farming conditions in less-favored areas and cultivation encouragement of alternative energy crops.
Researchers: Soo-Suk Kim, Eui-Sik Hwang, Joo-Nyung Heo
Research period: 2007. 5. - 2007. 12.
E-mail address: soosuk@krei.re.kr, eshwang@krei.re.kr, knuhj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8439
-
좋아요8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대 개도국 농촌개발 경험 전수 방안 연구
- 이전글
- 제천시 농업·농촌 중장기 발전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