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출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경영보고서
- 공공데이터 오픈 API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공공데이터 신청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선진 농업국의 농업교육 정책동향 및 우수사례 분석
목차
서론
네덜란드
덴마크
호주
뉴질랜드
일본
미국
우리나라 농업교육에의 시사점
요약문
WTO/DDA협상, 거대경제권과의 동시 다발적인 FTA 체결 등 각종 개방협상이 진전되면서, 농산물시장은 완전 개방 상태에 이를 날이 멀지 않았다. 최근 고유가로 인한 각종 농업자재가격 상승은 단기간에 끝날 것 같지 않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한 각종 자연 재해, 이와 맞물려 전염병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위험 요소들이 농산물 시장 나아가 농업경영의 불안전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우리 농업이 당면한 이러한 다각적인 위기 상황의 돌파구는 결국 농업 인력의 역량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최근 정부에서 농업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교육 사업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키고 있는 것도 그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보고서는 네덜란드, 덴마크, 뉴질랜드, 호주, 일본, 미국 등 선진적으로 농업 정책을 펴고 있는 국가들이 어떻게 농업교육을 실행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농업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olicies and some best practices 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Netherlands, Denmark, Australia, New Zeal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Japan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farmer education the educational projects should be enhanced to inducing various kinds of new workforce into agriculture including product processing and marketing sector as well as farming sector; agricultural certificat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secure the quality of new agricultural human resources, which could be an entry barrier;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in agriculture should be developed for quality control and systemic development of competency and their compatibility;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of agricultural education institutes should be enhanced by evaporizing, dissolving, crystallizing or concentration; business mind and scientific management skill should be strengthened in farmer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production competencies; agriculture related institutes and organization should be united to solve chronic agricultural problems through agricultural education reform.
Researchers: Ma, Sang-Jin and Choi, Kyeong-Hwan
Research period: 2007. 11. - 2008. 2.
E-mail address: msj@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0725
-
좋아요0
-
다운로드112
같은 분야 보고서
-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발전방안 연구
심재헌2025.06.30KREI 보고서 -
농어촌 영향평가: 농어촌 유휴시설 활용 지역 활성화
신병욱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현장 실증 후보지역 발굴 및 현장 지원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오형은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범사례 심층분석 및 DB 구축
진장익2024.12.30KREI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농촌 맞춤형 자율규제혁신지구 추진 방안 연구
김광선2024.12.31KREI 보고서 -
제2차 농작업재해예방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엄진영2024.11.30KREI 보고서 -
농업교육 투자의 성과 분석: 농업 관련 대학 졸업생의 영농 지속성을 중심으로
박미선2024.05.31KREI 보고서
- 다음글
-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성향과 마케팅 전략
- 이전글
- 지자체 도시민 유치 프로그램 지원사업 선정·평가·모니터링 및 도시민 유치 프로그램 모형 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