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유기·무항생제 축산물 직불제 도입방안 연구

목차
서론
친환경축산직불제 시범사업 진단 및 평가
유기·무항생제 축산물 인증실태 및 시장변화
주요국의 친환경축산직불제 추진 사례
유기·무항생제 축산물 직불제 추진방안
요약 및 결론
요약문
ㅇ 최근 소비자들의 친환경축산물에 대한 사회적 수요 증가를 반영하여 유기·무항생제 축산물을 생산하는 양축농가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직접지불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됨. 이 제도는 유기·무항생제 축산물 인증을 받은 양축농가가 특정한 준수사항을 이행하는 경우 사육규모에 따라 지원금을 지급하는 인센티브 프로그램임. 이 연구는 유기·무항생제 축산물 직접지불제도 추진을 위한 직불금 지원단가 산정과 구체적 실행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ㅇ 2007년 유기축산물의 인증실적은 한우 331두, 젖소 848두, 돼지 684두, 산란계 46,955수, 육계 160,200수로 나타남. 또한 무항생제 축산물의 인증실적은 한육우 25,852두, 젖소 295두, 돼지 62,950두, 산란계 7,518,520수, 육계 9,740,761수로 나타남.
ㅇ 유기·무항생제 축산물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07년 말 기준 한우, 젖소, 돼지, 닭(산란계, 육계) 등의 축종을 대상으로 한 시장규모는 약 2,821~3,728억 원으로 추정됨. 이중 무항생제 인증 축산물 시장규모는 연간 총 2,720~3,627억 원, 유기는 101억 원으로 추산됨.
ㅇ 유기·무항생제 축산물 직불제 지원대상 양축농가는 유기의 경우 친환경축산물 인증기관에서 유기 인증을 받은 농가를 대상으로 지원함. 무항생제의 경우 친환경축산물 인증기관의 인증을 기본요건으로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환경친화축산농장으로 지정을 받거나 또는 「축산물가공처리법」에 의해 HACCP 지정을 받은 농가를 지원 대상으로 함.
ㅇ 직불금 지급기준은 농가의 사육규모가 아닌 유기·무항생제 축산물 생산실적과 사양방식에 따라 지급토록 함. 한우는 비육우·번식우 구분 없이 두수당 직불금을 산정하고 젖소는 착육우를 대상으로 우유 생산실적에 따라 직불금을 산정함. 돼지·산란계·육계는 기본적으로 두수당 직불금을 지원하되 사육방식에 따라 인센티브 지급이 가능함. 직불금 지급 기간은 경종농산물과의 형평성 등을 고려하여 최소 3년에서 최대 5년까지 지급토록 함.
ㅇ 축우와 돼지의 유기·무항생제 축산물 직불금 지원단가는 관행대비 추가적인 생산비 요인과 수량 감소에 따른 소득감소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함. 축종별 두당 직불금 지원단가는 한우의 경우 무항생제가 3~5만 원 수준, 유기가 25~35만 원 수준으로 산정됨. 젖소의 두당 직불금 지원단가는 무항생제의 경우 7~10만 원 수준, 유기의 경우 50~60만 원 수준으로 산정됨. 돼지의 두당 직불금 지원단가는 무항생제의 경우 1~2만 원 수준, 유기가 3~5만 원 수준으로 산정됨.
ㅇ 산란계와 육계의 유기·무항생제 축산물 직불금 지원단가는 관행대비 추가적인 생산비 요인과 수량 감소에 따른 소득감소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함. 산란계의 1수당 직불금 지원단가는 무항생제가 100~200원 수준, 유기가 1,000~2,000원 수준으로 산정됨. 육계의 경우 1수당 직불금 지원단가는 무항생제가 50~100원 수준, 유기가 200~300원 수준으로 산정됨.
ㅇ 향후 유기·무항생제 축산물 직불제가 친환경축산 육성을 위한 주요한 정책프로그램으로 정착되려면 직불제도 대한 철저한 사후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농산물품질관리원 및 민간 인증기관 간의 적절한 역할분담과 긴밀한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함.
A direct payment system for promoting environment-friendly livestock products was adopted as a pilot project from 2004 to 2006. However, the project was held back in 2007 due to livestock farmers' inactive participation and the ill-preparedness of a certification system for organic livestock products.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saf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nd a growing adoption of eco-friendly livestock policies, a certification system was introduced for organic livestock products in 2001, and it was extended to cover antibiotic-free livestock products in 2007. Taking these shifts into consideration, it is necessary to adopt a direct payment system to promote organic and antibiotic-free livestock products and foster farmers raising livestock that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costs of supporting a direct payment system and to present programs that can activate the system in the four livestock categories of Korean cattle, dairy cattle, pigs and poultry (laying or breeding species).
This study has found that, as for the certification of organic livestock in terms of areas and livestock species, certifications were issued evenly nationwide in the case of laying poultry, but higher issuance of certification was shown in specific areas in the case of Korean cattle, dairy cattle and pigs. Certifications of antibiotic-free livestock were made nationwide in the categories other than dairy cattle and pigs. In addition, this study has found that significant quantities of certified antibiotic-free livestock were handled the same as in ordinary livestock breeds, and the estimated market volume of certified organic and antibiotic-free livestock products as a whole reached an annual market value of 280 billion won to 350 billion won.
An in-depth survey was made on eco-friendly livestock farming households to examine the production and to estimate the unit cost of direct payment. Purposive sampling was applied to select suitable farmers for this purpose.
The unit cost of direct payment per head was calculated all together considering income levels and the proportions of production cost charged on ordinary livestock farmers and organic/antibiotic-free livestock producers, and the unit costs were found as follows: 30,000 to 50,000 won for antibiotic-free beef and 250,000 to 350,000 won for organic beef; 10,000 to 20,000 won for antibiotic-free pork and 30,000 to 50,000 won for organic pork; 100 to 200 won for antibiotic-free laying poultry and 1,000 to 2,000 won for organic laying poultry; and 50 to 100 won for antibiotic-free breeding poultry and 200 to 300 won for organic breeding poultry.
Three basic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to implement a direct payment system for organic and antibiotic-free products: first, the unit cost should be appropriately determined to ensure that livestock farmers practice eco-friendly farming; second, supplementary alternatives should be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 pilot project can be continuously carried out in its actual, full-fledged implementation afterwards; and third, considerations should be made to maximize the policy performance with relevant polices.
Researchers: Chang-Gil Kim, Byung-Joon Woo, and Sang-Gun Lee
Research period: 2007. 12. - 2008. 3.
E-mail address: changgil@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2967
-
좋아요2
-
다운로드5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녹차 수급안정 및 경쟁력 제고방안
- 이전글
- 연차보고서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