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출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경영보고서
- 공공데이터 오픈 API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공공데이터 신청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 경영체의 조직화 효과와 활성화 방안
목차
서론
농업경영 조직화 유형
농업경영 조직화의 사례분석
농업경영 조직화 방향
요약문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systematization among agricultural enterprises, surveying the cases of systematized farming at the village level. Then, we derive a scheme to revitalize village farming through systematization.
To foster full-time specialized formers has been the me of core measures by governmert to strenghten the compefitiveness of agriculture. Even so, prime full-time farmers cannot cover all the land to be cultivated, and thus we also need to develop measures that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farming by all types of agricultural enterprises including small poor farms.
The systematization of village farming enables corporate management at the village level through economies of scale based on a management strategy incorporating all the relevant production resources such as land, labor, and capital on a long-term basis. We can also expect to see new ways of land usage, adoption of new production technologies, and business-minded decision making from the systematization.
For our case study, we surveyed the following agricultural enterprises: Natur, an agricultural corporation; a farm under direct management of the Sunchon agricultural cooperative; Jusansarang, an agricultural cooperative firm as well as the farmers who rent out the cultivated land to them.
Researchers: Eui-Sik Hwang, Hogun Chong
E-mail address: eshwa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51554
-
좋아요0
-
다운로드83
같은 분야 보고서
-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발전방안 연구
심재헌2025.06.30KREI 보고서 -
농어촌 영향평가: 농어촌 유휴시설 활용 지역 활성화
신병욱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현장 실증 후보지역 발굴 및 현장 지원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오형은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범사례 심층분석 및 DB 구축
진장익2024.12.30KREI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농촌 맞춤형 자율규제혁신지구 추진 방안 연구
김광선2024.12.31KREI 보고서 -
제2차 농작업재해예방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엄진영2024.11.30KREI 보고서 -
농업교육 투자의 성과 분석: 농업 관련 대학 졸업생의 영농 지속성을 중심으로
박미선2024.05.31KREI 보고서
- 다음글
- DDA 농업협상 쟁점과 대응방향
- 이전글
- FTA 대응을 위한 제주형 밭농업 직접지불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