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출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경영보고서
- 공공데이터 오픈 API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공공데이터 신청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강화군 농수산물 유통분야 장기발전계획 수립 연구
목차
서 론
강화군 농업 현황
강화군 주요 품목의 유통 현황과 과제
농산물 유통 환경 변화와 정부 정책
강화군 농산물 유통전략
강화군 유통회사의 필요성과 설립 방식
강화군 농산물 유통 발전을 위한 투융자 계획
강화군 유통회사 설립 타당성 검토
요약문
The world is currently experiencing the accelerated opening of agricultural markets driven by trade agreements and negotiations such as DDA and FTAs and changes in the agricultural policies focused on multi-functions of agriculture. These changes have influence upon domestic agriculture and local administrations as well as rural development plans for the agro-fisheries distribution. Accordingly, the consistent development plans of the agro-fisheries distribution are getting significant in the entire agricultural plans.
In this research, the conditions of the ago-fisheries distribution for the chief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Ganghwado rice, Ganghwado turnip, Yellow Sweet Potatoes and Lion-foot wormwood in Ganghwado are examined in depth and the changes of agricultural distribution circumstances are inquired carefully.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we think out the strategy of the agro-fisheries distribution revitalization for the Ganghwa products and indicate the optimum agro-fisheries distribution system for Ganghwa products by the reinvigorate of distribution channels such as provision of school lunch and direct business etc. And we carry out a feasibility study of ago-fisheries distribution system for Ganghwa County.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suggested to realize the vision.
First, "Increase regional direct business for Ganghwa ago-fisheries" to build up a stable market. Second, "Conduct the local facilities for providing meals using Ganghwa ago-fisheries" to supply safety products to the local residents. Third, "Set up local ago-fisheries floors" for the local residents to get some places buying and advertising local food. Fourth, "Expand the number of farmer's markets" to increase the income of farmers and fishermen. Fifth, "Raise the value of the rice brand "Ganghwado rice" as good as the Gyeonggi rice brand to promote marketing. Sixth, "Found a local distribution center and export system for Ganghwa agro-fisheries" to improve the present agro-fisheries distribution system and accommodation.
Researchers: Seung-yong Gouk, Dong-hoon Kim, Chang-ho Kim
E-mail: gouksy@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2829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2024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
권인혜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시행계획 점검·평가
정민주2024.12.30KREI 보고서 -
초고령사회 농촌의 치매관리 실태와 개선과제
김수린2025.04.30KREI 보고서 -
제5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기본계획 수립방향 연구
김용렬2024.12.30KREI 보고서 -
2024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 정주 만족도 조사
최현우2024.12.30KREI 보고서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농업관측 고도화 방안 연구 - 항공촬영 및 실측조사를 중심으로
김원태2024.12.30KREI 보고서 -
글로벌 식량 공급망 분석과 과제(2년차): 밀
임혜진2024.12.30KREI 보고서 -
농식품 공급망 성과 측정과 과제
한정훈2025.01.30KREI 보고서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연차보고서
KREI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공동체 조직 현황과 주민 참여 실태조사 결과
이순미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기초생활권 정책 방향 도출을 위한 생활환경, 고용 등 지표 조사 연구
- 이전글
- 농업경쟁력 저해요인 실태분석을 통한 농업부문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