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부산광역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

목차
제1편 계획의 기조
제1장 계획수립의 개요
제2장 농업·농촌의 여건변화와 정부의 농정방향
제3장 부산광역시 관련계획의 검토
제2편 계획의 기본구상
제4장 부산광역시 농업·농촌의 현황과 과제
제5장 부산광역시 생산자 및 소비자 수요조사
제6장 부산광역시 농업ㆍ농촌의 비전과 발전방향
제3편 부문별 발전전략과 주요핵심사업
제7장 농산업의 혁신전략
제8장 농산물 유통 및 식품산업 육성전략
제9장 농촌생활환경 및 지역개발전략
제10장 농업인력 육성 및 지역농업 시스템 구축
제4편 투·융자계획
제11장 투ㆍ융자계획
부록 1 : 식물공장의 동향과 전망
부록 2 : 일본, MOKU-MOKU 관광목장사례
참고문헌
요약문
Recently, local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areas are confronted with a critical situation due to the rapid change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i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Busan metropolitan city has invested i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based on several development measures for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agriculture and forestry investment and loan plan of government'.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measures based on medium and long-term vision has not been sufficient so fa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synthesised development plan of food industry as well as agriculture and rural areas by specifically examining local, environmental, and social-economic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and evaluat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local agriculture as well as its potential.
Entire areas of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set as the scope of the research, and plan period was divided into short-term and medium-long term by setting 10 years from 2010 to 2019. The current condi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of Busan metropolitan city is identified according to sectors; agriculture production,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food industry and rural development.
The tasks of agriculture production are as follows: First, issue for the security of substitute farming land according to city development, second, issue of agricultural water, and third, issue of improving agriculture production facilities.
The tasks of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ansion of the direct distribution basi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urbs of the city is needed because agriculture environment depends on individual shipment due to the insufficiency of the appropriate sized organ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 local distribution. Second, the security of more distribution facilities is an important task where semi-process of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mini-packaging or rinsing can be conducted in the vicinity of consumption place. Third, the distribution measures to provide urban people with fresh and safe agricultural products is the important task as well. In terms of the task of food industry, on the account that Busan metropolitan city has the large-scale consumption market and holds superior logistics basis such as new harbor and Kimhae airport, intensive cultivation of food industry is required for the promotion of food import. In terms of the task of rural development, the role of urban and rural exchange and the offering of the resort and experience space for urban citizens are required for co-prosperity.
The establishment of "Busan agricultural administration" as a field of the opinion collection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local agricultural adminstration and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local farmers about agricultural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of face to face consulting support for overcoming the problems of farming technology as well as item oriented specialized education is required.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8382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품종보호제도의 10년 운영평가와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 이전글
- 농지보전과 농업진흥지역제도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