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농촌부문 공공갈등사례와 갈등관리방안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사회갈등의 이론적 분석
제3장 공공갈등관리제도 운용실태
제4장 농업·농촌부문 공공갈등사례 분석
제5장 공공갈등관리의 방향 및 개선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최근 들어 시장개방의 확대와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사회전반적으로 갈등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농업·농촌부문에서도 새만금간척사업, 한·미 FTA, 농협개혁 등을 둘러싸고 분쟁과 갈등이 생성되었으나, 합리적인 사회적 기제를 통해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공공갈등을 관리하는 제도가 도입되었으나 실효성 있는 제도로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농업·농촌부문의 공공갈등 사례분석을 통하여 갈등의 구체적 내용과 함께 공공갈등 관리의 현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이 연구는 농업·농촌부문의 갈등관리 방안을 모색하여 개선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effective way of managing conflicts by investigating conflicts of interest and conflict management under a theoretic and institutional framework, and suggest a guideline for improving conflict management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In May 2008, the ministry of agriculture (MIFAFF) organized the Committee for Conflict Deliberation and Management (CCDM). The committee is currently in operation with a newly comprised committee that began operation early in 2010. However, the actual workings of the committee are as good as nonexistent and the institutional setup amounts to nothing more than a matter of formality.
For case study, this paper examined two cases of public conflict management: (1) the separation of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s banking sector from its non-banking sector and (2) the conflict surrounding the use of the Haenam reclaimed l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e CCDM is not effective in resolving conflicts and should be overhauled so that it can engage in practical discussions and help resolve conflicts.
(2) The newly introduced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did not take root due to low utilization. Therefore, the operating system should be expanded and overhauled so that it can be the principal tool for managing public conflicts.
(3) Manpower and budget should be expanded for CCDM to mediate conflicts more actively.
(4) Fostering and training of conflict specialists and mediators is urgently needed. Since each case of conflict is unique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eld of specialty, it is necessary to raise specialists who are suited to the task of resolving conflicts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field.
(5) What needs to accompany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public conflict management is the activation of a software that can effectively operate a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operate a conflict management system effectively, first, it is necessary to try to manage a conflict experimentally and create a successful case. Then the system needs to be implemented across the board and bring about changes to the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stakeholders.
Researchers: Soo-Suk Kim, Sang-Jin Ma
Research period: 2009. 12. - 2010. 6.
E-mail address: soosu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8041
-
좋아요0
-
다운로드130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종자산업의 동향과 국내 종자기업 육성 방안
- 이전글
- 헝가리 고추산업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