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종자산업의 동향과 국내 종자기업 육성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 종자산업 동향 및 문제점
제3장 외국 종자산업의 동향과 전망
제4장 종자산업 및 국내 종자기업 육성 방안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최근의 종자산업은 전통적인 교배육종을 통한 신품종 개발이라는 단순한 접근에서 벗어나 의약 및 재료산업 등과의 융복합산업으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나노기술 등을 활용한 종자 개발 연구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선진국들은 종자산업을 국가경쟁력의 새로운 동력으로 인식하여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국제적 거대기업 또한 인수합병 등을 통해 규모 확대는 물론, 원천기술의 선점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우리나라 종자산업의 시장규모는 글로벌 기업들의 국내 진출 이후에도 세계의 1% 수준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민간 종자기업이 주도하는 채소종자 시장도 정체하고 있으며, 업체 규모 또한 상당히 영세하다. 이 연구는 식량주권 확보의 출발점이자 첨단기술의 접목이 용이한 종자산업이 현재 처한 문제를 극복하고, 앞으로 수출지향적 미래 성장동력산업으로 재평가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The seed industry is evolving to become an industry where technologies of advanced bioscience, such as medicine and materials industry, can be utilized. Developed countries are increasing their support for the seed industry, and global seed companies are actively consolidating and expanding their business through mergers and acquisitions, investing heavily in R second, raise the private sector's capability by utilizing individual seed developers and fostering human resources; third, build a domestic base for seed production and expand support; fourth, induce seed companies to achieve economy of scale by stimulating export; and fifth, increase protection of seed developers by making the seed variety protection system effective.
In developed countries, it may be possible that government role or support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seed companies.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where the seed industry is immature, the industry cannot grow without adequat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refore, the current government measures to foster the seed industry have to be carried out without hindrance, and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consultation with related entities.
Researchers: Ki-Hwan Park, Hyun-Tae Park, and Chung-Gil Chung
Research period: 2010. 3. - 2010. 6.
E-mail address: kihwa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45701
-
좋아요0
-
다운로드265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농어촌지역 슬레이트지붕의 실태와 대책방향
- 이전글
- 농업·농촌부문 공공갈등사례와 갈등관리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