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일본의 곶감산업 동향

목차
제1장 일본 국가 개요
제2장 일본 감 생산 동향
제3장 산지유통 실태
제4장 곶감 가격 및 품질
제5장 유통 구조
제6장 소비 및 상품화 동향
제7장 한국산 감 가공제품 수출가능성
제8장 시사점
요약문
일본에서 곶감은 명절 및 제사에 길조를 비는 제수용품과 간식 등으로 다양하게 소비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일본의 곶감산업도 소비계층 확대와 상품화 과정에서 전환기를 맞고 있다.
곶감 선호도가 연령이 높은 계층에서 높지만, 젊은 계층에서는 수요가 낮아 수요 확대방안을 강구중에 있다.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으로 농가에서 제품화하기 어려워진 여건을 농협에서 생감 수매, 가공, 상품화함으로써 판매 물량의 안정적 확보와 품질이 향상된 곶감을 공급하는 방향으로 산업 활로를 찾고 있다.
일본의 곶감 수입량은 일본 내 생산이 증가하면서 2005년 이후 급감하고 있다. 한국산 곶감도 1990년대에는 매년 20∼60톤 정도를 수입하였지만 최근에 저가의 중국산 곶감에 비해 경쟁력이 낮아져 수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국의 떫은감 생산 및 가공제품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몇 년 후 공급과잉까지도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떫은감의 다양한 가공 상품화와 수출시장 발굴로 소비확대와 수출증대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Astringent persimmon is a major fruit produced in Japan after tangerine, apple and pear. The cultivation area, however, has been decreasing each year and in 2008, 266,600tons of persimmons were produced on 23,000 ㏊ of land. Major production regions are Wakayama Prefecture (20.2%), Nara Prefecture (10.9%), Fukuoka Prefecture (7.8%), Gifu Prefecture (6.2%), Fukushima Prefecture (6.0%), and Aichi Prefecture (5.5%). These six prefectures account for 56.6% of total national output.
As dried astringent persimmon production increased in Japan, the amount of imported dried Astringent persimmons has been declining sharply since 2005. As of November 2009, the cumulative amount of dried astringent persimmons imported to Japan stood at 661 tons. In the 1990s, Korea exported twenty to sixty tons of astringent persimmons to Japan annually. But since the beginning of 2000s, astringent persimmon exports are almost nonexistent due to low-priced Chinese astringent persimmons.
In Japan, dried astringent persimmons are used for ancestral rites on New Year's Day and other holidays. The fruit is sold the most from December to January and is consumed in various ways as snacks. The fruit is popular among old generations, and its consumption is on an increasing trend. However, the demand is low among younger age groups.
Thanks to advancement of storage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air-tight containers and oxygen absorbants, dried persimmons with tender texture are put on the market, and the preference for dried astringent persimmons with less seeds is high. As for the color and size, rather deep red persimmons are popular and 2L and L sizes are preferred.
Since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Nonghyup(JA) educates farmers with guidelines and manages the cultivation process, quality and safety management from cultivation to harvesting is performed relatively well. In the meantime, the share of farms processing astringent persimmons for shipment to Nonghyup(JA) had been high. However, due to the aging of farmers and labor shortage, Nonghyup(JA) has recently taken over the function of processing astringent persimmons in addition to merchandising the processed products. Since it has become possible for Nonghyup(JA) to process astringent persimmons on a one-stop basis from sorting, peeling, drying, and packaging to low-temperature storing, the delivery rate was improved and the whole process including quality and safety management and merchandising is done systematically.
In order to secure a stable supply of raw materials and build up a quality management system, Nonghyup(JA) needs to work closely with farmers and provide them with personalized technology guidance. In order to improve merchandising and marketing in response to the aging of farmers and labor shortage, it is highly necessary to support Nonghyup(JA)'s distribution centers in major production areas and induce their systematization and specialization. A strict quality management system should also be introduced to make the merchandising process sensible and transparent.
Korea's sliced-dried astringent persimmons are seedless and convenient to eat, and the product is appraised to have the power to create new demand both in Korea and Japa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marketing and PR activities more aggressively. Although the sliced-dried persimmons are little expensive, the product is appraised to be high in sugar content and quality, and capable of creating new demand by upgrading the product and targeting the upscale market in Japan. In order to create new demand in Japan, more efforts should be made for quality and safety management, packaging, and entry into distribution channels.
Researchers: Kyung-Phil Kim, Hyun-Deok Seok
E-mail address: kkphil@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7906
-
좋아요1
-
다운로드47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천일염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전글
- 초·중등 교과서 농식품 관련 내용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