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전라남도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산업화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친환경 농업의 현황과 전망
제3장 농업미생물제제 산업화 방안
제4장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설립 타당성 분석
제5장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중장기 발전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전라남도 지역은 정책적으로 친환경농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체 친환경농산물의 52%가 전라남도에서 생산되고 있고, 현재 전라남도 경지면적의 34%가 친환경 재배면적이며, 2014년까지는 전라남도 재배면적의 45%까지를 무농약 인증 면적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미생물농약, 비료, 생균제 등의 미생물제제이다. 그러나 미생물제제 생산업체가 영세하여 생산한 미생물제품의 단가가 높고, 품질이 균일하지 않아 최종수요자인 농가가 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전라남도는 농업미생물제제의 산업화 방안을 모색 중이다.
그 일환으로 전라남도는 농업미생물제제연구센터를 설립·육성하여 친환경미생물제제의 품질인증사업, 미생물제제의 제형화 기술 등 R&D 지원, 농가 및 미생물제제 생산업체의 교육, 컨설팅, 홍보 등을 강화하여 양질의 미생물제제의 공급확대와 수요자인 농가의 만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Jeollanamdo is promot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he province produces 52% of al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Currently, 34% of cultivated land in the region are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nd the local government plans to expand the ratio of pesticide-free acreage to total cultivation land to 45% by 2014.
Microbial materials such as microbial pesticides, fertilizers, and probiotics are essential parts of organic farming. But because of the small scale of microbial production, the price of microbial materials is high and the quality is inconsistent, and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for farmers to use them. To overcome this problem, Jeollanamdo is presenting ways of industrializing microbial materials.
As part of this effort, Jeollanamdo plans to expand the supply of high-quality microbial materials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farmers. The methods to be use for achieving the goal are to provide assistance in technology-related fields, like formulation of microbial materials, launch quality assurance projects, educate farmers and microbial materials producers, and strengthen consulting and publicity promotion.
The market size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s projected to grow from 3.7355 trillion won in 2009. Even though the increase rate of the market will slow down from 2010, when there will be no more labeling of new low-pesticide products, the market size is still expected to grow to 4.094 trillion won in 2010 and to 5.0955 trillion won in 2013. In 2015, when the labeling of low-pesticide products will be abolished altogether, the market is predicted to shrink to 4.9216 trillion won if we assume that some low-pesticide crops will be labeled as pesticide-free or organic. However, the market is projected to gradually recover afterward to 7.0676 trillion won in 2020 to account for 20% of the entire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According to four different scenarios, the demand for microbial materials in 2020 will be different. Scenario 1 puts the demand at 125.5 billion won, and scenarios 2, 3, and 4 put the projections at 179.3 billion, 233.1 billion, and 303 billion won respectively.
The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microbial materials industry in Jeollanamdo can largely be summed up in three directions.
First, the strategy is set on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microbiology research center for eco-friendly agriculture. The center's vision and goals are set on support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by providing assistance to producers of microbial materials who, as new engines of growth, can supply safe and functional microbial materials.
Second, synergy effects should be created through a network among bio-firms. Since there already are seven specialized research centers in the region for bio-industry promotion, synergy effects can be created if some of the operations and functions of each research center are exercised in conjunction with the microbiology research center.
Third, microbiology-related research institutes across the country should form a cluster with the government, industries, and academia to create synergy effects as building the cluster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sts, maximizing the profits, and enhancing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Researchers: Kim, Yean-Jung; Jeong, Eun-Mee; Lee, Woong-Yeon; Park, Soon-Chul
E-mail address: yjkim@krei.re.kr, jeonge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9395
-
좋아요1
-
다운로드2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전라남도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산업화 연구 : 요약보고서
- 이전글
-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성과 평가와 지원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