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오리산업 현황과 관측기법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오리산업 현황
제3장 관측기법 연구
제4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참살이(well-being)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하면서 오리산업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오리고기 총생산액은 2001년 3,820억 원이던 것이 2008년에는 1조 1,544억 원(2007년은 5,824억 원)으로 한육우, 젖소, 돼지, 닭에 이어 5대 축종으로 급부상하고 있어 오리산업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
한육우, 젖소, 돼지, 산란계, 육계 등은 이미 축산관측 품목에 들어 있어 주기적으로 관측 결과가 제시되고, 업계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오리는 아직 관측 품목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업계에서 관측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아직 사육·유통 정보가 부족하고, 사육수수 예측을 위한 정보가 충분치 않아 수급 조절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한 농가의 소득 및 물가 불안정으로 오리에 대한 관측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오리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오리의 생산·유통·소비 단계에 관여하고 있는 경제주체의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정책 입안자의 합리적인 정책수립을 위해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관측정보가 요구되고 있는 만큼 오리관측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이 보고서는 올해부터 오리관측 사업을 수행키로 하면서, 이에 대한 준비 작업의 결과물로 오리 생산 규모, 계열화 정도 등 오리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종오리, 배합사료 생산량, 오리 산지가격 등 관측을 위한 기초통계를 바탕으로 한 오리관측이므로 각종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market forecast model for the duck industry based on basic statistics. During the last decades, duck meat consumption has increased considerably along with the increased concern for the consumer's well-being that has contributed much to the continued growth of the duck industry. Amid such a trend, the demand by duck producers and policy makers for sound market forecast is high.
With such a background, we first examine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duck meat, marketing system and integration of the duck industry, which is concentrated in Jeonnam, Chungbuk and Jeonbuk provinces. Based on 2005 agricultural census, we sampled 228 duck farms and made a questionnaire about breed, disease, and the productivity of individual duck farms.
Secondly, we set up a supply-demand model.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model was to demonstrate its goodness of fit by using production cycle, statistical data and farm surveys. But there were many uncertain factors, such as price fluctuation, disease and seasonal variation in duck breeding. Because of the uncertain market situation, there were several market problems, such as unstable income of duck producers and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In developing the supply-demand model, there are many limits: inconsistency of major data, time lag of statistics gathering, and lack of demand-side analysis. Nevertheless, the simulation results of this model showed that it can finally be used for forecasting the outlook of the duck market.
Researchers: Huh Duk, Hyungwoo Lee, Jeongmin Lee and Junhyung Kyung
Research period: 2010. 4.~2010. 7.
E-mail address: huhdu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52343
-
좋아요0
-
다운로드65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산버섯 산업 현황과 관측 기법 연구
- 이전글
- 국가 농어촌정책의 추진 전략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