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천일염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소금 관련 정책과 법령
제3장 천일염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제4장 천일염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요약문
천일염은 1963년 염관리법이 제정된 이후 45년간 법적으로 광물로 분류되어오다가 2007년 11월에 염관리법이 개정되면서 식품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천일염 관리업무도 2009년 3월에 지식경제부에서 농림수산식품부로 이관되어 고부가가치 식품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그동안 국내산 천일염은 외국산에 비해 우수한 성분을 함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최고의 품질을 보유한 프랑스 게랑드산보다 염화나트륨 함량이 낮고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지만, 시중에서는 50배정도의 가격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천일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생산·유통·수입 등 각 부문에 산재해 있는 제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그러나 천일염산업을 구성하는 각 부문의 현황이 체계적으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천일염산업 육성을 위한 적합한 추진체계를 구축하는 데 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천일염산업의 발전을 위해 각 부문에서 문제점을 파악·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The salt in Korea has been treated as a mineral for the past 45 years since the Salt Management Law was enacted in 1963. The Salt Management Law was revised in November 2007 and it reclassified sea salt as food. The affairs related to sea salt were transferred from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o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 March 2009 for consistent and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Domestic sea salt has been less popular compared to imported sea salt in spite of containing more minerals such as K, Ca, and Mg.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s the sea salt industry as a value-added industry, and has a plan to develop the industry. However, there exist many problems related with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importation sectors of the sea salt industry. A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veral problems in those sectors and present solu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e amount of sea salt produced in 2008 was 384,304 tons, and Chonnam province is the largest producer of sea salt, holding an 80% share of total production area. Prices of domestic sea salt are relatively high compared to imported sea salt. The market share of domestic sea salt in the domestic salt market is about 10%, and Japan was the biggest importer of Korean sea salt in 2009.
One of the major problems of the sea salt industry is that the institutional mechanism for promoting the growth of the industry is not well established. In the production sector, many problems impede the development of the sea salt industry: small business size of producers, high rental rate, lack of labor force, high labor cost, and poor infrastructu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are other major obstacles to overcome: complicated distribution channels, sales of fake sea salt, and poor distribution facilities.
To develop the sea salt industry, related laws need to be revised and a hygiene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etting up of plans to foster successors and introduction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re key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a salt industry. Lastly, it is necessary that the Korea Salt Management Asso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in 1967, achieves the transparency of management and obtains the confidence of its members.
Researchers: Han Jae-Hwan and Choi Byung-Ok
Research period: 2010. 4. - 2010. 6.
E-mail address: jhha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0528
-
좋아요2
-
다운로드6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강화군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 이전글
- 일본의 곶감산업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