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작물재해보험의 성과와 정책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작물재해보험의 개요와 추진실태
제3장 농작물재해보험의 성과 분석
제4장 농작물재해보험에 대한 농가 의견조사
제5장 외국의 사례
제6장 농작물재해보험의 정책과제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올해로 농작물재해보험이 도입된 지 10년째이다. 시작할 때만 해도 제대로 정착할 수 있을지에 대해 걱정이 많았으나, 2010년 현재 25개 품목으로 확대되었다. 이 중 18개 품목은 시범사업이기는 하지만, 선행 국가들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성과라고 할 수 있다. 2001~2009년 동안 5만여 재해 농가가 받은 보험금은 나름대로 경영 안정에 보탬이 되었다. 보험금이 없었다면 폐농의 위기를 벗어나기 어려웠을 농가도 적지 않았다. 농작물재해보험이 농업경영의 위험관리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10년이 경과하는 동안 해결해야 할 과제도 노출되고 있다. 사과와 배 이외의 품목들은 보험 가입률이 저조하다. 농업인들은 보다 다양한 재해를 보험대상에 포함할 것을 요구하며, 품목 확대에 대한 요구도 계속되고 있다. 이는 최근 이상기상이 빈발하면서 더욱 그러하다.
이 연구는 농작물재해보험 실시 10년의 성과를 살펴보고, 농업경영상의 위험관리 수단으로 정착·발전시키기 위하여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동안의 농작물재해보험 실시 경험을 바탕으로 하되,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9년간의 방대한 보험실적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과제를 도출하였다. 제시된 과제는 실적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였기 때문에 해결해야 할 여러 가지 과제 중의 일부라고 생각된다. 농작물재해보험 전반을 다루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검토될 필요가 있으며, 이 연구는 이러한 시도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and problems of crop insurance and to suggest the tasks in order to stabilize and expand the crop insurance as a farming stabilization policy system.
We used several methods for this study such as literature review, the survey for other countries' experience, the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and interviews of farmer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actual data used. They are collected 2001 crop year to 2009 crop year.
Crop insurance was started at 2001 for apple and pear in Korea. After that time, various crops were included. Twenty five crops, nationwide or particular areas, are insured in 2010. Korean government has a schedule to extend over 30 crops after 2011.
The insured were 8,055 in 2001 and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o 32,966 in 2009. But most of farmers insured were apple and pear growers. The coverage options are 70% or 80%. Most farmers select 80%. It turns out that farmers prefer wider coverage although the burden of premium that they have to pay was heavier.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loss assessment between agencies. It is necessary to adopt several measures for proper assessment. The premium rates(standard rate) are calculated by the basis of each county level.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 of losses, individual premium rate are decided to add or discount extra rates. With a relation between premium rate and loss ratio, the grape farmers with high risk bought crop insurance, but the grape farmers with low risk didn't buy crop insurance. So, the premium rates for grape seemed to increase continuously.
During nine years, about 52 thousand farmers had received 297.2 billion won. We analyse the effect of crop insurance in stabilizing farm management. The result shows that crop insurance has con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farm management because the maximum variation of the insured farmers' revenue is 606 thousand won per 10a comparing to one of non-insured farmers', 806 thousand won. Also, it is true that there are adverse selection and moral hazard.
The result of interview describes that farmers request the extension and diversification of insuring natural disasters.
USA, Japan and Canada have been implementing agricultural insurance during about 70 years. They have provided various crops and programs and researched many alternatives in order to help the farm stabilization. Nowadays, they tend to expand revenue assurance programs concerning the farm level stabilization rather than the individual crop.
The introduction of the crop insurance system affects korean agricultural policy. But there exist many problems because crop insurance has expanded in too short period. Accordingly, there are several tasks enabling crop insurance to become a useful tool for farm management. First, The government and NACF have to provide the extension service on crop insurance for farmers continuously. Second, more natural disasters must be insured. Third, it is important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proper loss assessment. Forth, it is useful that farmers are forced to insure all the acreage for the same crop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risk allocation and reduce moral hazard problem. Fifth, the redundant program should be eliminated in farm stabilization policy. Sixth, it needs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revenue assurance alternatives. Seventh, more research related to crop insurance is helpful.
Researchers: Kyeong-Hwan Choi, Gwang-seok Chae, Byeong-Seok Yoon
Research Period: 2010. 1 ~ 2010. 10.
E-mail Address: kyeong@krei.re.kr; gschae@krei.re.kr; dd329@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5147
-
좋아요0
-
다운로드107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한 산림의 역할과 관리 최적화 방안
- 이전글
- 쌀산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