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OECD/DAC 가입에 따른 개발도상국 농업기술지원 전략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우리나라의 해외농업협력과 현황
제3장 OECD/DAC 주요국의 공적개발원조 현황
제4장 OECD/DAC 가입요건과 기술협력
제5장 우리나라의 기술이전 및 협력가능 분야
제6장 해외 농업기술지원 사례
제7장 우리나라의 농업기술 해외이전 및 협력 전략
제8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2009년 11월 OECD/DAC 가입에 따라 정부의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사업의 기본 목표는 OECD/DAC 가이드라인인 인도주의에 바탕을 둔 개발도상국의 빈곤 타파와 인간의 존엄성 유지에 필요한 기초수요를 충족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농업 분야 국제협력사업의 기본 방향도 OECD/DAC의 가이드라인과 우리 정부가 설정한 공적개발원조사업 추진 방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정을 요구받고 있다.
OECD/DAC 가입에 따라 우리나라는 ODA 「원조 공여조건에 대한 권 고」, 「최빈국에 대한 비구속성 권고」 등 회원국으로서의 의무사항을 준수하면서 ODA 사업을 수행하기로 약속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2015년까지 국민소득(GNI)의 0.25%수준까지 ODA수준을 확대하기로 하였고, 최빈국에 대한 증여율과 비구속성 원조 비중을 상기 조건에 만족시키겠다는 약속을 천명하였다. 이에 농업부문의 ODA 또한 비구속성과 증여율 조건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농업분야 해외협력사업 및 해외농업개발사업이 OECD/DAC 가입에 따라 GNI 대비 ODA 비중 증가요구와 함께, 비구속성 원조 준칙에 위배되지 않는 개발도상국 농업지원 방안을 강구하고 그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Korean government policy direction for ODA has been changed since November 2009 when the Korea became a member of OECD/DAC. The new-basic objective of Korean ODA would be focusing on the BHN (Basic Human-Being Needs) with enhancing human-beings dignity and poverty reduction related to a basic guidance of OECD/DAC. Therefore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could be also adjusted to the above changes.
One of effective strategie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Korean agricultural sector under the OECD/DAC regime could be promoting “technology transfer” to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the free-standing technology transfer is treated as untied aids. The technology transfer could be the most effective strategy for beginners of OECD/DAC member. Furthermore, Korea could be in the middle position of technology location which implies Kore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of technology transfer to developing countries.
In this report, demands for technology transfer of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feasibility of Korean technology to satisfy needs of receipts is analyzed. Optimal strategies of technical transfer and the system for strategic transfer would be also analyzed.
Researchers: Kim, Kyeong-Duk; Jeong-Seoung Kim
E-mail address: kd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8120
-
좋아요0
-
다운로드69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어업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2/5차연도)
- 이전글
- FTA 대상국의 농산물 협상 사례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