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부문 에너지 수급 구조와 전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우리나라의 에너지 이용실태와 정책 변환
제3장 농업부문의 에너지 투입 구조 변화 및 전망
제4장 농업부문 청정에너지 수급 실태와 전망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에너지는 국가경제 전반에 걸쳐 가장 중요한 자원이며, 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농업부문에서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분야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 등에 대해 여러 가지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주요 농축산물의 에너지 수요 전망과 함께 농업부문의 청정에너지 수급 실태 분석 등을 통해 농업부문 에너지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에너지와 관련된 효율적인 정책 방안이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According to economic development and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economic conditions, the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and consumption by energy source of our country are largely changing. Nevertheless, South Korea depends on imports for most of its energy, because natural energy resources are insufficient, and is very sensitive to energy-related issues. Recently, because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raised concern about diminishing fossil fuels and global warming, the importance of energy efficiency is increasing.
To understand the energy input structure of the agricultural sector in order to prepare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plans, it is necessary to predict energy consumption by main items. For this, input-outpur analysis was conducted.
It was found that our agriculture and forestry and fisheries industry consumed 3.79 million tons oil equivalent(toe) in 2007, and the agriculture sector is expanding; on the other hand, the livestock and forestry and fisheries sectors are generally shrinking. The agriculture sector remarkably uses energy for vegetables and flowering plants, and in the case of vegetables, consumption has increased by more than 9%, and even consumption of flowering plants has increased by more than 11% above the annual average.
In addition, the energy input coefficient in the agriculture sector decreased by more than 30% compared with 1995, confirming that, in general, dependence on energy is being avoided. The agriculture sector is an industry dependent on energy as a result of the relatively large input coefficient in horticulture.
Meanwhile, domestic new renewable energy use in our country is just 2.43% of total consumption of the first energy but has shown a tendency to swiftly increase the supply rate of new renewable energy since 2000; however, consumption in the agriculture sector is mainly oil related compared with other industries, and the consumption of new renewable energy is almost nothing. Nevertheless,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goal of expanding the supply rate level of new renewable energy to 4.3% in 2015, 6.1% in 2020, and 11% in 2030, so the use of new renewable energy is expected to increase even in the agriculture sector in the future.
Energy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for the entire range of the national economy, and because of the effect of oil price increases, it has become a major interest of agriculture. Therefore, the government is preparing various policies for the efficient use of energy as well as energy saving.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plan energy-related efficient policy by supplying basic data on energy policy establishment in the agriculture sector by analyzing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clean energy in the agriculture sector along with the potential energy demand of the main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Researchers: Yun-Jung Kim, Ki-Hwan Park, Chang-Yong Kang, Yun-Hyung Kim and Han-Ho Kim
E-mail address: yj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0026
-
좋아요0
-
다운로드13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
- 이전글
- 인삼·약초를 활용한 식품가공산업 발전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