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부문의 청정에너지 이용실태와 과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청정에너지 이용동향과 전망
제3장 농업부문 이용가능 청정에너지원과 경제성
제4장 청정에너지의 농업부문 활용전망과 과제
제5장 결론
요약문
농업부문에서 활용되는 에너지는 주로 열에너지이다. 열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는 태양열, 바이오매스, 지열 등이고 최근 온도차에너지가 신재생에너지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농업부문에서 이용되고 있고, 현실적으로 이용 가능성이 큰 에너지원으로는 지열과 바이오매스에너지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청정에너지에 대한 개념을 검토하고 농업부문에서 활용도가 높은 지열 및 바이오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원별 기술적용 가능성과 경제성 등을 검토한 후, 이들 에너지원 보급상의 문제와 보급확대를 위한 과제를 도출하였다.
The energy used in the agriculture sector is mainly thermal energy. Accordingly, clean energy that can produce thermal energy is solar heat, biomass, and terrestrial heat, and in recent years, energy using temperature differenc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renewable energy. This study of terrestrial heat and bioenergy with high applicability to the agriculture sector reviewed technical applicability by energy source and economic efficiency and showed policy implication in the supply of energy sources and distribution expansion.
Among new renewable energy, the currently supplied energy for the purpose of heating in the field of agriculture is the heat pump system and wood-pellet stove using terrestrial heat. In case of use of new renewable energy for heating, direct effects include reduction of fuel expenses and increase in productivity, and indirect effects include reduction of CO2 emissions. Nevertheless, the reason the supply of new renewable energy is insufficient seems based on several problems described below.
In the case of a terrestrial heat pump, because a farmer must take responsibility by paying 210 million won for installation in a 1 ha greenhouse, this is not an easy investment. Besides, it is attributed to an insufficient understanding by farmers of terrestrial heat pump systems, site acquisition problems for facility installation, low technical level of design, and construction companies. In the case of wood pellets, inconvenience of pellet purchase, problem of storage security, and purchase price problems are pointed out.
For the purpose of wide utilization of clean energy sources such as terrestrial heat energy and woody biomass in the agriculture sector, the basis expansion of these sources should be implemented. In particular, support for facility installation of the new renewable energy should be planned, and consiste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construction companies to reduce the supply prices of clean energy facilities applicable to the agriculture sector are required. Most clean energy is based on a region; accordingly, system development that produces and consumes clean energy in a regional un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For this system development, it is required to launch benchmarking for foreign advanced cases and related systems.
Researchers: Hyun-Tae Park, Yean-Jung Kim
E-mail address: htpark@krei.re.kr, yjkim@krei.re.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2416
-
좋아요0
-
다운로드28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기업의 발전방향과 과제
- 이전글
- 농업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