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대금정산회사(조합) 설립 방안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도매시장 운영현황과 정산법인 도입 필요성
제3장 도매시장 정산법인 도입방안
제4장 상장외 거래의 정산회사 도입방안
제5장 상장외 거래 정산회사 자본금 규모와 정산수수료
제6장 상장거래의 대불방식 정산회사 도입방안
요약문
농수산물 도매시장의 거래방식은 상장경매방식이 기본적인 제도이지만 물류 효율성을 제고하고, 경매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장외 거래와 시장도매인제를 보완적으로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상장경매방식은 중도매인이 도매시장법인에 실질적으로 귀속되어 도매시장법인간의 경쟁이 위축되고, 중도매인의 영업범위가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도매시장거래의 효율성이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장외 거래는 대금결제의 불확실성과 감가정산의 문제 등으로 효율적인 거래제도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도매시장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거래 투명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즉, 도매시장 대금정산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기본적인 개선과제이다. 도매시장 제도개선방안에서도 대금정산제도의 개편을 중요한 과제로 선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 도매시장의 대금정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산법인 설립 필요성과 설립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제시하고 있다. 농수산물 도매시장의 정산체계와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산법인의 형태와 거래형태별 정산법인의 도입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정산법인의 설립 및 운영에 기초가 되는 적정 정산수수료율을 산정하고 있고, 정산법인의 설립을 위한 제도적 바탕으로 무엇인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learing corporation. Emphasizing each role of participants in public wholesale markets,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an efficient market for agricultural products. Recently the demand was high for promoting sound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of wholesale market. The market for stock farm product needs to fix their monopolistic relationship with intermediary wholesalers. The other transactions with intermediary wholesalers and market wholesalers have an issue about credence.
We highlighted the clearing corpor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a public wholesale market for all participants-wholesale market companies, intermediary wholesalers, market wholesalers and producers/farm distributors. Several things are considered in establishing a clearing corporation. In terms of institutional structure, clearing corporation would be better to the clearing co-op(association). The first stage of clearing corporation includes the non stock farm product market and the transaction between wholesale companies and intermediary wholesalers. The transaction of purchasing itself should be included maintaining separate accounts by markets.
In section Ⅳ, we present a detailed model of clearing corporation for non stock farm market considering the firm structure, risk and credit management. Although there may be a burden for wholesalers such as a commission, all participants including Seoul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Corp., have benefits from the new clearing system. In Section Ⅴ and Ⅵ, we analyze a structure of commissions and calculate an optimal level of commissions for each case when a new system is launched. For the non stock farm product market, the expected commission is 0.23%. For transactions between the wholesale company and intermediary wholesalers, 0.09% is imposed as a cost for clearing.
Researchers: Eui-sik Hwang, Seung-yong Gouk, Mee-bok Kim, Joo-nyung Heo
E-mail address: eshwa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4519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국제농업협력사업 중장기 추진 방안
- 이전글
- 중국의 친환경농식품 시장 현황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