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국제농업협력사업 중장기 추진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비전, 목표, 추진방향 및 추진과제
제3장 추진과제별 세부 방안
제4장 농업분야 개발협력 중점지원 대상국 선정 사례
제5장 국제협력사업 추진 방식의 체계화 방안: KSP 사례
요약문
농림수산식품부가 국제농업협력사업에 대한 예산을 확보하여 사업을 시작한 지 5년이 지났고, 2010년에는 이 사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글로벌농림수산협력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총괄 관리기구를 우리 연구원에 설치하였다. 2009년에 제정된 국제개발협력기본법에 따라 농림수산분야 ODA 중장기 추진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제 농림수산 국제협력이 그 기초를 다지고 도약을 준비하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하겠다.
이 보고서는 이렇게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국제농업협력 부문에 대한 중장기 추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협력사업의 중장기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관련 기관 간의 역할분담에 관하여 제언을 담고 있다. 아울러 협력사업에서의 선택과 집중을 위하여 중점협력 대상국가와 대상분야의 선정, 사업의 종류 및 형태별 발굴과 평가 등 체계적 관리에 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특히 이 사업의 효율적, 안정적 시행을 위하여 예산확보 방식의 변경과 조직개편에 관한 방안도 제시하였다.
It is necessary to have mid- to long-term approach to the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projects, following the increasing trend of the budgets of the projects.
We set the vision as to pursue th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with the less developed countries through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projects shall be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national brand value through strategic cooperation which aims for food security and poverty elimination in the developing and less developed countries.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MIFAFF) needs to control and coordinate all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which are undertaken by all affiliated administrations besides its own projects. The functions of the "Council for Global Agricultural Cooperation" shall be strengthened for more effective coordination of cooperation projects. The establishment of "Global Agricultural Cooperation Center" and enactment of "Act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re also crucial. In the long run, the MIFAFF should take over all international aid projects in the agricultural sector.
For "selection and concentration," we suggest to focus on the south-east Asian region and Africa first as key target areas for cooperation. For target countries, it needs to distinguish strategic cooperation countries and general cooperation countries. Country assistance strategy for agriculture, or CASA, is to be prepared for efficient discovery and implementation of projects.
Categories of projects are: special type projects, international collaborative projects, experience transfer projects and general type projects. To discover potential projects, diverse survey should be used including survey in written form. Some small, general type projects which have shown excellent performances can be expanded to become special type projects. International collaborative projects, considering the difficulties in project formation and initiation, need to be categorically combined with the special type projects.
For sustained and secure implementation, stable supply of budget is crucial. It can only be possible through introduction of relevant law or regulations which would have clauses on the budget. Current method of budget, subsidization, should be changed to the contribution method so that the implementing agencies can stably perform the projects. Following the change in budgeting, a separate control organization, as corporative body, should be established.
Researchers: Yong-taek Kim, Jang Heo, Jeong-seung Kim, Bok-young Park, Tae-hee Lee
Research period: 2010. 6. - 2010. 11.
E-mail address: yong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64572
-
좋아요0
-
다운로드26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 10년사
- 이전글
- 대금정산회사(조합) 설립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