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잡곡의 유통 실태 조사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수수 생산 및 유통 실태
제3장 조 생산 및 유통 실태
제4장 기장 생산 및 유통 실태
제5장 팥 생산 및 유통 실태
제6장 잡곡산업의 과제와 시사점
요약문
경제성장에 따른 삶의 질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잡곡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잡곡은 그동안 쌀의 수량과 맛에 밀려 식량생산 분야에서 소외되어 왔으나 식품의 기능이 칼로리 중심에서 기호성, 기능성으로 확대되면서 새롭게 주목을 받고있다. 잡곡이 함유하고 있는 고유의 성분과 영양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이다.
웰빙식품, 기능성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잡곡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 국내 잡곡의 소비량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새로운 소득 및 부가가치 창출원으로 잡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능성 농산물로서 이용이 확대되고 있으나 국내 잡곡의 생산, 유통, 소비 등 관련 기본통계마저 파악하기 어려워 수요 확대에 따른 대응마저도 곤란한 실정이다.
현재 잡곡과 관련된 통계자료가 미비해 잡곡산업의 위상을 가늠하기 어렵다. 국내 잡곡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잡곡산업의 동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 연구는 국내 잡곡의 생산·유통 실태조사를 통하여 잡곡산업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그동안 소외됐던 잡곡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잡곡산업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coarse grains produced in Korea and to find implications required for facilitating the Korean minor cereal industry on the basis of conversion of consumer’s preference and the direction of agricultural policies. To this purpose, we collect and analyze basic data for identifying the status of Korean minor cereal industry through survey of distribution of coarse grains produced in Korea.
There is a great opportunity for increas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oarse grains produced in Korea. With the spread of food consumption pattern oriented to healthy living and increasing old-age groups, consumer preference for coarse grains produced in Korea is still high. Changes of agricultural policies contribute to the great opportunity for increasing the market of coarse grains produced in Korea as well. That is, it is encouraged to grow other crops instead of rice in paddies by means of support policies because of accumulated rice stocks resulting from recent decrease in rice consumption in Korea.
Referr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coarse grains, e.g., millet, foxtail millet, Indian millet, adzuki beans, etc., are valuable for different use as well as healthy functional f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for advertising and commercializing the use of coarse grains mentioned above. By the way, cultivation of coarse grains still depends highly on manual work because of the low level of mechanized farming and it has a weak basis for soil management, e.g., drainage and water supply facilities which is thus a factor of lowering productivity and lower quality. However, it is necessary to attempt diversified cropping systems including cropping paddies, fields, etc., for improving farmers' income as well as efficient use of farm land, since coarse grain has short growing period as compared to low productivity and a wide range of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With reference to current distribution of millet, foxtail millet, Indian millet, adzuki beans, etc. Nonghyup as a processing and selling union of farmers rather than local distributors have been engaged in distribution. Even though farmers' association has a high market share in producers' market, the share of Nonghyup as a processer and seller in wholesale market is significantly low as compared to the high share of private processors and wholesalers. The reason that a high share of farmers’ associations in producers' market is not connected to the step of wholesale is due to the significantly improving capacity of private processors and intermediate wholesalers for processing and selling the cereals. However, the scale of Nonghyup’s processing and selling coarse grains at the wholesale step is stagnant, resulting in farmers associations’ lowered competitiveness as compared to the private business sector.
Coarse grains can be a highly usable factor for vitalizing local agriculture. Coarse grains can be cultivated with less agricultural chemicals and are environment-friendly crops as well. Therefore, it is worth to actively enhance the farming structure of coarse grains, focused on individual farm households to organize specialized business based on local agriculture and to promote construction of production bases, e.g., installation of drainage in hillside paddies for encouraging to cultivate coarse grains in the paddies, abd installation of hire business sites for farm machines and equipment.
Researchers: Sung, Myung-Hwan and Kwon, Dae-Heum
Research period: 2010. 12. - 2011. 4.
E-mail address: mhsu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54449
-
좋아요0
-
다운로드160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성공적인 협동조합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 일선 농협을 중심으로
- 이전글
- 중점협력국 농업분야 현황 기초조사 : 6개국을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