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한-EU FTA 농업분야 국내영향 및 대 EU 수출가능성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EU의 농업 현황
제3장 EU의 농업정책
제4장 한-EU 농림축산물 교역
제5장 한국과 EU의 농산물 관세체계
제6장 한-EU FTA 농업부문 영향분석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연구는 한-EU FTA 타결 시 예상되는 우리나라 농업부문의 생산 감소와 수출 증대 효과를 추정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곡물류 가운데 쌀은 양허에서 제외되었고 EU의 곡물류 경쟁력이 미국에 비해 뒤지기 때문에 크게 수입이 증가할 품목은 없을 전망이다. 과일과 채소도 일부 가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면 신선 상태로 수입이 증가하여 우리 농업에 피해를 줄 품목은 많지 않다고 본다. 고추, 마늘, 양파 등 중요한 채소류는 현행관세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영향이 없다. 그러나 축산은 돼지고기와 낙농품을 중심으로 피해가 우려된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시장개방에 대비한 정부의 정책이 차질 없이 집행되고 농업인들의 경쟁력 제고 노력이 배가되어야 할 것이다.
After 2 years of negotiations, the Korea-EU Free Trade Agreement(FTA) has made a conclus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Korea-EU FTA on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This study tries to reflect final results of the negotiation. Korea exports about $50 mill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processed food to the EU. On the other hand, Korea imports about $2 billion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the EU. Therefor potential loss from Korea-EU FTA in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can be foreseeable.
Sensitive products for Korea-EU FTA include meat, except beef, and dairy in the livestock sector, tomatoes, grapes and kiwifruits in the horticultural sector. Impact analysis focused on the livestock sector. Increased imports of EU agricultural products are estimated to reduce Korean agricultural output by 306 billion won in the 15th year of implementation. It is far below the case of Korea-US FTA effects on Korean agriculture. Pork industry would be the biggest looser from the Korea-EU FTA and the value of production is estimated to be reduced by 55.6 billion won after 5 years of implementation and it would be increased to 121.4 billion won by the final year of implementation. Dairy and chicken industries output is estimated to be reduced by 80.5 billion won and 33.1 billion won respectively. For the horticultural sector, production of kiwifruits and grapes is projected to be reduced by 7 billion won and 3.2 billion won respectively. Tomatoes industry can be affected negatively from the Korea-EU negotiation by 5.4 billion won reduction of production.
Korea is evaluated to maintain and strengthen competitive edge against EU in some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fruits, tobacco leaves and drinking beverage. However, export promotion effects of the Korea-EU FTA on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are expected to be restrictive. Major Korean commodities exported to the EU can increase exports because of the negotiation. Fifteen major export items exporting to the EU account for 78 percent of total export are estimated to increase export by $50 million from the basis of maximum exports. Export promotion effects evaluated from the basis of recent export performance data expected to be by $7 million.
Researchers: Choi, Sei-Kyun
Research period: 2008. 9. - 2009. 5.
E-mail address: skchoi@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5791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지방분권 추진에 대응한 농지관리사무의 효율적 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 이전글
- 식생활 교육 기본계획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