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경상북도 곤충산업 육성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곤충산업의 국내외 동향과 전망
제3장 경북의 곤충산업 발전 잠재력과 비전
제4장 경북의 곤충산업 육성 방안
제5장 경북의 곤충산업클러스터 추진전략
제6장 곤충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계획과 파급효과
요약문
곤충산업은 미래의 성장동력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곤충산업이 부가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산업으로 육성할 가치가 높다는 점에서 국가적 투자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는 곤충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2010년 8월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시행하고, 동년 12월에는 향후 5년간 1,100억 원을 투자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제1차 곤충산업 육성 5개년 계획’을 수립 발표하였다.
곤충산업에 대한 국내외적인 관심이 고조되고, 곤충산업의 기술적 변화만이 아닌 생활양식과 문화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등 곤충의 가치인식이 다각화됨에 따라 지자체들도 곤충산업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경상북도는 곤충산업을 육성하려는 의지가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상북도는 곤충의 생육환경에 적합한 자연환경 및 관광자원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천적곤충, 화분매개곤충의 경우 경쟁력측면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민간연구소, 대학, 연구기관 등 곤충 관련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반면에 곤충산업 육성에 필요한 인프라가 미흡하고, 곤충산업의 생산규모 및 시장점유율에서 타 시도와 비교해 약세여서 곤충산업 중심지로서의 지역이미지가 약하다는 약점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경상북도가 국내 곤충산업의 허브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현재 도내의 곤충산업 구성요소들이 어떤 기능과 사업을 수행해야 할 것인지, 어떤 주체가 선도해 나가야 할 것인지 등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master plan to secure leading position in domestic insect industry by making good use of insect resources Gyeongsangbuk-do has. This study covers insects centering around pollinating insects, insects used as natural enemy, insects for study, insects as a pet, edible insects, insects for medicinal purposes, insects used as feed, insects for festival, insects for events and insects for environmental cleanup. This study also covers bee farming and silkworm farming. Program period was considered 10 years (2011 ~ 2020). Farms cultivating insects, farms using insects, school parents, insect industry experts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Gyeongsangbuk-do not only has natural environment and tourist attractions appropriate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insects but it has a strong will to promote insect industry. Gyeongsangbuk-do secures a leading position has competitiveness in insects used as natural enemy and pollinating insects. In addition, Gyeongsangbuk-do has favorable condition to build insect related network such as institutes, colleges and research agencies. Meanwhile, Gyeongsangbuk-do does not have sufficient infrastructure that is required to promote insect industry and lags behind other provinces in market share and production scale of insect industry and has weaker brand image as hub of insect industry.
This study set a vision of Gyeongsangbuk-do's insect industry to "performance of hub function of domestic insect industry" so that Gyeongsangbuk-do can play a role as hub in insect related industrialization, distribution, R&D, education, experience and event. This study set Gyeongsangbuk-do's goal of promoting insect industry to "boosting Gyeongsangbuk-do's economy by making the most of insect resources in Gyeongsangbuk-do". Five strategies to realize the vision and achieve the goal were presented as follows. ① Building infrastructure to raise insects, ② Making the most of insect resources in Gyeongsangbuk-do, ③ Expanding infrastructure to promote insect industry, ④ Making insect resources tourist attraction, ⑤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central government.
Ways in which Gyeongsangbuk-do promotes insect industr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s about expanding infrastructure to promote insect industry which is related to expanding infrastructure to raise insects and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existing insect industry special district. Second is about promoting insect industry and strengthening R&D which is related to building insect business support center (tentative name) and colleges. Third is about making insect resources tourist attraction. Ways to build insect experience village, establish publication and marketing system for insect tourism and develop experience learning program were proposed.
Organization of insect industry cluster in terms of promoters of insect business as strategies to promote insect industry were proposed. Insect industry cluster aims to perform a role as mecca of domestic insect industry connecting organizations that are related to insect industry such as insect business support center, insect related research institutes, ecological experience, insect farmers and insect firms. Building and operating insect industry cluster can not only make a contribution to supplementing and strengthening the role and function that are performed by local self governing bodies in Gyeongsangbuk-do but it also integrate goals of insect businesses into one vision and enhance Gyeongsangbuk-do's brand value in insect industry.
Researchers: Hyun-Tae Park, Myung-Hwan Sung, Yean-Jung Kim, and Woong-Yeon Lee
Research period: 2011. 3. - 2011. 10.
E-mail address: ht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4215
-
좋아요1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미국의 작물수입보험 실태와 시사점
- 이전글
- 농업환경지표를 활용한 농업환경자원 관리시스템 구축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