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조건불리지역 직접지불제 중장기발전방안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조건불리지역 직불제의 개요와 특징
제3장 외국의 조건불리지역 직불제
제4장 조건불리지역 직불제 평가
제5장 조건불리지역 직불제의 개선방안
요약문
이 연구는 현행 조건불리지역 직불제의 실태를 파악하여 국내외 여건 변화에 따른 제도의 개선점 등을 제시하고, 중장기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조건불리지역 직불제 사업의 개요와 추진실적 분석, 외국의 조건불리지역 직불제 사례, 조건불리지역 직불제 평가 및 주요 쟁점과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Instability of agriculture management is expanded amid market opening, extreme weather change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aging an agriculture and farming sectors in relatively unfavorable conditions are facing a drastic reduction in population and land abandoning due to the low position of farming income. A pilot project of Korea's direct payment programs to less favored areas was implemented from 2004 to 2005, targeting nationwide remote areas in order to promote income preservation and regional revitalization of farmers of less favored areas with regard to low living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since 2006, the promotion carries out direct payment programs to less favored areas as a main project.
The system has expanded to islands since its introduction and there are changes in target areas due to rigid application of farmland systems thereby require changes in the systems according to support expansion for farmers, cost sharing of government expense and regional expenses, utilization of shared costs of communities, and adjustment of target regions. In addition, the necessity to review project standards has been suggested according to changed business environments and performance evaluation, such as maintaining of the rights of settlement, regional revitalization, and farm productions increase effect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direct payment programs of less favored area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ject status of the existing direct payment programs of less favored areas so as to explore measures for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and suggest improvements of system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 changes at home and abroad.
In the key issues for the direct payment programs on less favored areas, it is desirable to 1) simplify selected indicator, such as the existing provision of slope and arable land rate and a reduction of population,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less favored areas, statistic data by legal rate, the current designation unit. 2) For the agenda to decrease slop from 14%, the current standard to 12% or 10% requires a review in conjunction with payment unit and differentiation. 3) Whether to include dong areas of islands, it is necessary to contribute to regional revitalization through agriculture promotion if disadvantage of condition is important. 4) The issue with unauthorized changes of forest-land could be a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has been used as an agricultural land (a field) during 2003 to 2005. 5) To raise the applicability of joint community fund,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consumable expenses for revitalization and common facilities of community, and discover excellent examples, such as the maintenance of agriculture production infrastructure and joint purchase and utilizat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and grant actual incentives. 6) Charge on the state is the principle if the implementation method related to state aid is performed nationwide. 7) Setting up the maximum payment requires creation of the maximum subsidy based with respect to the rice income direct payment program. 8) It is desirable to relieve handling of leased farmland if agriculture promotion of less favored areas is regarded importantly related to land lease issues. 9) There are two approach methods in work implications in order to boost inspection for execution conditions; simplifying project process or simplifying complicated systems. 10) Regarding the payment uni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o the same level to that of the current rice income direct payment program.
Researchers: Tae-Gon Kim, Joo-Nyung Heo and Jeong-Seung Kim
E-mail address: taego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7210
-
좋아요0
-
다운로드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선진국 소득안정제의 최근동향과 농가소득안정 직불제의 쟁점분석
- 이전글
- 국내외 농식품부문 녹색성장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