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선진국 소득안정제의 최근동향과 농가소득안정 직불제의 쟁점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선진국의 직불제 최근동향과 시사점
제3장 쌀소득보전직불제의 평가와 개선방향
제4장 농가소득안정직불제와 다른 직불제와의 관계
제5장 농가소득안정직불제의 주요쟁점
요약문
이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직접지불제에 대한 개편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농가소득안정직불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도입방안과 예상되는 주요 쟁점에 대해서 몇 가지 시나리오별로 장단점을 분석·정리하여, 농가소득안정직불제의 조기 정착을 도모하고 직불제의 정책효과를 제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선진국의 직접지불제 최신동향과 시사점, 쌀소득보전직불제의 평가, 소득안정직불제와 다른 직접지불제와의 관계, 농가소득안정직불제의 쟁점 등을 분석하였다.
In the wake of frequent occurrences of the extreme weather change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expansion of the marking opening thanks to WTO/FTA, the risk of agriculture management is increasing, including rapid changes of crops in terms of pricing and quantities. Research is necessary to introduce farm income stability direct programs based on restructuring details of the direct payment related to latest income stability in which relieves the effects of market opening and the problems of surplus rice while ensuring management stability of farms for the prom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improve food self-sufficiency.
Key research details are the implications and latest trend of direct payment of advanced countries, evaluation of the direct payment program on rice inco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 payment on income stability and other direct payment programs, as well as issue analysis of direct payment programs on farm income stability.
In the main issues of the direct payment program on farm income stability, ① the larger the farm scale with management risks of the direct payment on income stability, it is more likely to have higher preference.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to rule out specific farms from direct payment programs. It is recommended to set up an extent area, while targeting farms with sales performance. ② Matters to be consider for target items: The main income source of farms (the output), changes in prices and production, regional concentration and effects of main production areas,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food self-sufficiency, products expected to be damaged due to FTA, related policies (food security, etc.), effectiveness of direct payment programs (including administrative costs). ③ Based income preservation standard, there are pricing, quantities, sales revenue, and income, which are the indicators to identify management risks. Of these, appropriate indicators for the direct payment program on income stability are pricing, quantities, sales revenue, and income. ④ The exercise standard for variable direct payments of the direct payment program on rice income is 100%, while the income preservation standard is 85%. On the other hand, the exercise standard for direct payment of FTA damage preservation is 85%, while the income preservation standard is 90%. Whilst items for the direct payment programs on rice income, FTA damage preservation, and income stability are different, implementation purpose is similar.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programs are easy to exercise and have a unity of the preservation standard. ⑤ The direct payment on income stability in the implementation principle and promotion systems requires plant area statistics for target items by farm. It is advisable to set up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which performs registration of agriculture management information, as the implementation principle, and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local governments.
The study suggests a restructuring direction on various direct payment programs that are currently implemented in Korea. The study aims to analyze and organize expected key issues and detailed introduction plans into several scenarios, which regard to the direct program on farm income stability under review for introduction henceforth in order to promote the policy effects of direct payment programs as well as their early settlement.
Researchers: Tae-Gon Kim, Gwang-Seok Chae and Joo-Nyung Heo
E-mail address: taego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7456
-
좋아요0
-
다운로드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방안
- 이전글
- 조건불리지역 직접지불제 중장기발전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