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경영체등록제 추진과정 및 사업실적
제3장 농업경영체등록제 운용 및 관리 실태
제4장 농업경영체등록제 운용 및 관리제도 개선방안
제5장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의 정책적 활용 및 연계방안
제6장 요약 및 정책적 제언
요약문
농업경영체등록제는 농가를 하나의 경영체로 식별하는 시스템을 확립하여 경영체의 자발적 신고에 기초한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개별 경영체에 적합한 효율적인 정책이 추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도입되었다. 이 등록제는 2008년 6월부터 본 사업을 실시하여 현재 시행 3년차를 마치고 시행 4년차에 들어선 단계에 있다. 하지만 아직 구체적인 정책사업과의 연계에서 추진속도를 내지 못해 등록제의 활성화와 등록정보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러한 여건 하에서 이 연구는 농업경영체등록제의 추진 및 관리실태를 분석하여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고, 등록정보의 정책적 활용을 제고하며 정책사업과의 연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이 연구는 농업경영체등록제의 발전방향에 대한 중장기적 로드맵을 개략적으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farm manager registration program progress for better supporting agricultural policies by providing ways to enhance accuracy of farm managers' registered information and its application to agricultural policies.
As a result of a mail survey designed for investigat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farm manager registration program, the degree of farm managers' recognit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is program were appeared to be low. It was also concluded from the survey that the instant application of registered information to agricultural policies is necessary for the farm manager registration program to be successful.
In order to attract farm managers' interes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farm manager registration program,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gistration program need to be advertis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the TV, the press, and farm education programs.
For the matter of enhancing accuracy of registered information, registered information needs to be categorized into one that can be voluntarily altered by farm managers and the other that needs administrative correction measures. In the case of the former category, it is necessary that farm managers upgrade their farming information in a way of en masse registration once a year as well as at the time of changes in registered information.
This study suggests several ways to heighten the application of the farm manager registration program as follows:
First, the registr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 measure of farmers' business register in the area of crop production.
Second, the application of the registration program to agricultural policies is appropriate to be implemented systematically on the basis of the facility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application. For example, the registration program needs to be connected first with direct payment for the field crop and move to direct payment for rice income compensation, then direct payment for farm income stabilization.
Third, farm managers' registered information can be very useful statistical data to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if its accuracy is approved, because this registered information has characteristics of census data. Among 53 items in registered information, for example, 2 items concerning the lease of farmland and farming area seem to be available for statistical data.
Researchers: Kim, Soo-Suk, Kim, Jong-Sun and Jeong, Seo-Yeon
Research period: 2011. 8. - 2011. 12.
E-mail address: soosu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6376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KASMO 2011 운용·개발 연구
- 이전글
- 선진국 소득안정제의 최근동향과 농가소득안정 직불제의 쟁점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