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쇠고기·돼지고기 물가안정을 위한 유통체계 개선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 축산물 유통 관련 제도 검토
제3장 외국의 축산물 유통 관련 제도 및 시사점
제4장 유통체계 개선 방향과 주요 방안
제5장 결론 및 요약
요약문
축산물가격의 불안정은 가축질병 발생 등으로 인한 수급 변화뿐만 아니라 불합리한 유통구조도 그 원인으로 자주 거론되고 있다. 축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정부에서 여러 차례 수급 및 유통구조 개선 대책을 발표하였으나 정책의 효과에 대한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다양한 정부대책에도 불구하고 축산물 가격 불안정성이 반복되는 이유 중 하나로 축산물 수급 및 유통구조에 대한 정보 부족이 지적되고 있다.
이 연구는 물가안정을 위해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유통 관련 정책사업들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is research analyze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consumer price from livestock and meat related policies, and seeks effective policy options. To meet this end, the research conducted expert survey to rank relative importance of policies which aim to reduce meat price volatility and price markdown.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integration by cooperative was mostly selected policy option for all objectives. Organizing producers and scale improvement was the second best choice from the survey. In a goal of reducing price volatility, integration by private enterprise, modernizing farm facilities, activating cut-meat distribution were selected as the best policy options. In a goal of price markdown, expanding direct dealing, encouraging vertical and horizontal integration, activating cut-meat distribution were selected as the best policy options.
This research performed another expert survey to evaluate efficiency, effectiveness, enforceability, and acceptability of policy options for reducing meat price volatility and improving marketing system. Integration by cooperative was mostly selected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Meat traceability was selected as a best policy option for government’s enforceability. Modernizing farm facilities with developing technologies for improving productivity was the best suit for the farm acceptability. It is interesting that integration by cooperative policy also received high rank in enforceability and acceptability categorizes.
From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marketing stages to facilitate stakeholders’ prompt decision making in a situation of current complex meat marketing system with many business participants. To do so, several policy directions are recommended such as, 1) improving productivity and marketing power of producers by integrating, 2) achieving market efficiency and economy of scales by merging slaughter, deboning and processing, shipping stages. 3) securing consumers and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To improve beef and pork domestic marketing system,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olicy options for each different marketing stage. In the production stage, policies such as 1) integration and local brands has to be linked to coordinate producers. 2) Solving animal feed price instability to mitigate input price pressure. Also it is important to adopt flexible “calf production stabilization policy” for a future. 3) Farm modernizing and production technology improvement is urged to reduce seasonal effect of meat and livestock prices. In the wholesale stage, it is necessary to 1) facilitate regional lodgment slaughtering and processing center for effective boxed meat distribution. 2) Revitalize the pork futures market and expand to beef industry. In the retail stage, several approaches are needed as below. 1) Markdown favored meat part price by encouraging low-fat meat consumption, 2) introducing government certified high-quality meat distribution channel, 3) developing various meat direct dealing systems, 4) enforcing meat quality certification labeling policy to restaurant.
Researchers: Huh, Duk; Woo, Byung-Joon, Kim, Won-Tae
E-mail address: huhdu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6175
-
좋아요0
-
다운로드34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벼 대체 사료작물 이용시스템 구축 방안
- 이전글
- 쇠고기·돼지고기 유통실태 분석 및 개선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