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벼 대체 사료작물 이용시스템 구축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 사료작물 이용 동향
제3장 벼 대체 사료작물 재배 타당성 검토
제4장 해외사례 및 이해당사자 조사 결과
제5장 사료작물 이용시스템 구축 방안
제6장 결론 및 요약
요약문
초식가축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양질 조사료를 일정 이상 급여해야 한다. 그러나 축산업에서 차지하는 조사료의 중요성에 비해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조사료 생산과 유통체계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쌀의 수급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벼 재배면적을 축소하고 해당 면적에 다른 대체작물을 재배하는 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벼 대체작물로서 국내 생산 확대가 요구되는 사료작물을 도입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과 효과적인 이용체계를 검토하고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an economic efficiency of growing forage crops instead of rice and establishes effective using-system of forage crops.
Continuous exceed supply of rice with its decreasing price is pointed out as a main factor of farm income decline. To mitigate such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replace rice acreages to other alternative crops. However, considering food security and North Korea’s food shortage problem, it is important to maintain certain amounts of paddy field acreages.
With government’s subsidies, producers’ net income from field corn and rice whole crop silage are 8,820,000won and 7,790,000won per a hectare each. These figures show higher net income than from food rice production. Without government’s subsidy, meanwhile, food rice growers’ net income much higher than forage crops. Thus, introducing more productivity and cost reducing technologies with direct payment for forage crops are necessary to facilitate replacing rice acreages.
This study interviewed livestock growers, rice farmers, and TMR companies to examine the possible approaches of enlarging forage crop productions in paddy fields. The outcomes showed that maintaining stable sources of forage crops supply and demand are most important to derive income. Livestock industry also demands upgrading forage crop qualities.
The research argues that a lack of market-based system is the main obstacle of restricting the growth of domestic forage crop production. To solve market inefficiency in domestic forage production and consump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forage crop exchange center” in a several regions. The “forage crop exchange center” will provides several functions such as forage crop wholesale market place, supplying information for reducing uncertainties and setting price signals, providing funding opportunities for small businesses.
Researchers: Woo, Byung-Joon; Jung, Min-Kook, Lee, Myung-Gi, Kim, Hyun Joong
E-mail address: bjwoo@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2200
-
좋아요0
-
다운로드78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북한의 농업법제 고찰 : 농업조직 및 농지관리를 중심으로
- 이전글
- 쇠고기·돼지고기 물가안정을 위한 유통체계 개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