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한·중 FTA 대비 양국간 농산물 교역구조 변화 전망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전략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한·중 농업의 위상 변화와 성장 특성
제3장 한·중 농산물 교역의 분업 및 경쟁 구조
제4장 한·중 농산물 교역의 장애요인 분석
제5장 한·중 농업구조의 변화와 농산물 교역
제6장 중국의 농산물 수급 전망과 파급 영향
제7장 한·중 농산물 교역구조의 변화 전망
제8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전 세계적으로 지역무역협정이 급속하게 확산되는 가운데 한·중 양국은 FTA 추진을 염두에 두고 민간공동연구에 이어 산·관·학 공동연구를 완료하고 공식협상에 앞서 민감성에 대한 사전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민간공동연구나 산·관·학 공동연구 과정에서도 확인되었듯이 한·중 FTA 협상이 추진되는 경우 농업분야는 양국간 이해가 상충되는 대표적인 분야로서 비교열위에 처한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가장 민감한 분야이기도 하다.
그동안 한·중 FTA 농산물분야 협상 추진에 대비하여 다수의 연구가 축적되었다. 이들 연구는 주로 한·중 FTA 체결에 따른 국내 농업의 파급 영향, 농산물분야 협상의 예상 쟁점과 대책 그리고 대응방안 등 시급하게 요청되는 현안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그러나 중국의 농업구조 변화가 한·중 농산물 교역에 미칠 파급 영향에 주목하여, 교역에 영향을 주는 제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양국간 농산물 교역구조의 변화를 전망하고 이를 토대로 한·중 FTA 협상시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 농업의 성장 특성과 구조변화의 방향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양국간 농산물 교역의 현황 및 장애요인, 중국의 농산물 수급 현황 및 중장기 전망 등 한·중 농산물 교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교역구조의 변화를 전망하고 몇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 추진되었다.
Agricultural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shows a clear one-way trade from China to Korea and consists mainly of inter-industry trade. The products available for intra-industry trade are rare with the exception of several processed foods. This overwhelmingly unbalanced trade structure makes it difficult for the two countries to avoid severe competition and build a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ve relationship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is not expected to change in the near future.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the share of grain in their bilateral agricultural trade has decreased, but the shares of vegetables and processed foods have increased. The pattern will set in because grain trade is quite restrictive to the supply and demand in the Chinese domestic market and most of fruits, vegetables, and livestock products trade is not allowed due to inspection and quarantine barriers, which is not expected to be completely removed in the near future.
The implications from our analyses on relevant issues in the agricultural trad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Chin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nese agriculture is now on the stage of labor productivity-led growth and changes its production structure to the one relying on intermediate inputs gradually. Hence, the rises of input prices including agricultural wage and land rent are likely to threaten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Chinese agricultural export.
Second, China is a young market economy and the economy is not sophisticated yet due to the government's frequent interventionist economic policies. Most of all, China still clings to the socialist system in politics. Thus, resource allocation in the Chinese agricultural sector would be distorted by other factors rather than market principles. In this case, the prospect that the structural change in Chinese agriculture will follow a stylized path, through which developed countries already passed, will lead to a mistaken prediction of its change and then fail to properly act in the light of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Third, agriculture in two countries has similar production structure and development course, but also has distinctive resource endowments and growth stages, which lead to the current overwhelming one-way trade and leave not much room for complementary relation in the near future. It is necessary to find constructive cooperation plans between the trading partners towards co-prosperity under a more liberalized trade in the future,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ation system reflecting their comparative advantages in agricultural production.
Fourth, the removal of inspection and quarantine barriers usually takes quite a long time, because the import prohibiton of a product on account of plant disease, pest, and animal disease is lifted through a various risk assessment process having eight steps. Recently, however, exporting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seeking to reduce the period of the risk assessment and to set a common standard. Bilateral quarantine negotiations are also affected by political and diplomatic situations and may accelerate the procedure.
Fifth, the Chinese government has adopted several policies for promoting disease-free agricultural production regions. Also, China is trying to introduce the concept of regionalization in its FTA negotiations, persuading their trade partners.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epare for a possible request of the Chinese government on the issues in the forthcoming Korea-China FTA negotiation.
Sixth, the survey results reflect the change of consumer perceptions about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toward a more positive direction. Korean residents in China and restaurant managers, who have experienced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more than general consum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about taste, food safety, and prices of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and showed higher willingness to pay than general consumers did. It suggests that general consumers are likely to become more positive on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if they have mor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se products, implying the potentiality of import increase of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when a bilateral FTA between the two countries goes into effect.
Seven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nitoring system about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and regional products, performing ordinary surveillance on supply, demand, price, and relevant policies of China, for the important products in Korean agriculture. Furthermore,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and manage the ‘China Agriculture Forecasting Model’ which is applicable to evaluat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change in Chinese production and market circumstance and to respond quickly with proper domestic measures.
Researchers: Hyoung-Jin Jeon, Sei-Kyun Choi, Myong-Keun Eor, Suk-Ho Han, Han-Phil Moon, Dae-Hee Chung, Min-JI Nam and Jun-Ho Seung
E-mail address: hjcho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8540
-
좋아요0
-
다운로드73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지리적표시제도의 운영실태와 발전방안
- 이전글
- 중국 농업의 구조변화와 한·중 농산물 교역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