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식량안보체계 구축을 위한 해외농업개발과 자원 확보 방안(3/3차연도)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식량안보와 해외농업개발의 의의
제3장 해외농업개발의 실태와 과제
제4장 해외농업개발의 전략 수립
제5장 해외농업개발사업의 타당성 분석
제6장 해외농업개발사업의 경영성과 분석
제7장 결론 및 정책 시사
요약문
이 연구는 식량안보와 식량자원 확보를 위한 해외농업개발의 전략을 수립하고 해외농업개발사업의 성공모델을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향후 글로벌 식량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해 보고, 해외농업개발이 식량안보대책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는 대책인지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 농식품산업의 해외직접투자와 해외농업개발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 정책과제를 도출해 보며 중국, 일본, 중동국가들과 같은 대량 식량 수입국가들의 경우 해외농업개발을 어떻게 시행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해외농업개발사업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하여 해외농업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농업개발의 성공모델을 제시하였다.
After the global food crisis, world grain prices have rapidly soared. This brought about significant influences on global economy causing ‘agflation’ phenomenon which describes inflation led by rises in agricultural commodity prices. World grain market is also unstabilized by uncertain changes in weather and productions. Under the circumstances like this, Korea is the fifth largest food import country, so food security has become one of the most serious issues. Oversea agricultural development is emerging as one of the promising policy options to stably secure foods.
This is the final report which is the third year report of the three-year research. This study tried to seek an alternative model and policy to establish an effective operating system for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s given that Korea's entry into this field is relatively new and competition over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is getting intense around the world. Additionally, the study suggested the successful model and strategies of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Previou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bout several issues as follows;
At the first year research, the study attempts to provide a future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by grasping the historical progress and constructing a reasonable definition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ossibilities of the development in Russia, Brazil, Myanmar, and Cambodia. Especially, the conceptual scope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includes physical and economic access to safe, sufficient, and nutritious food as well as establishment of a food security system.
At the second year research, the study focused on reviewing and evaluating the implementation of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carried out after 10-year-plan for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second year study provided the necessary complementary measures and developed a new food security index for recognizing threatening elements in the world food supply and importance of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final year research, the study provided the action plans for promoting the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by region, commodities, and types by reviewing the successful private companies's strategies and evaluating their business models and analyzed the economic feasibility study on their projects using the analysis of financial statements and business performance analysis. Finally, using the various results, the study drew out various desirable success models for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Researchers: Kim, Yong-Taek; Kim, Byeong-Ryul; Lee, Byoung-Hoon; Jun, Ik-Su; Yoon, Jong-Yeol; Min, Ja-Hye; Kim, Jeong-Seung; Seong, Jin-Keun; Kim, Wan-Bae; Kim, Jong-Ho
E-mail address: yong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65233
-
좋아요0
-
다운로드55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해외농업개발 해외진출기업의 경영전략 분석
- 이전글
- 해외농업개발사업의 사업타당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