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지역간·계층간 격차실태와 요인분석

목차
제1장 연구의 개요
제2장 지역간 소득격차
제3장 지역 격차 지수
제4장 지역유형과 격차
요약문
글로벌화의 진행과 함께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은 지역 및 계층 간 부의 격차 확대를 초래하고 있다. 도농 간의 격차뿐만 아니라 농촌내부에서도 지역 간, 계층 간 격차 또한 심각하다. 농촌지역 내에서도 중심부인 읍부로의 인구이동과 면지역 주변부의 공동화 현상, 농업내부의 농업소득양극화 현상의 심화는 동질성을 가정한 농촌지역의 상정은 유의미하지 않고, 이질성과 차이를 명시적으로 고려한 유형별 접근을 요구한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 간·지역 내 발전격차실태와 그 원인 분석 없이 지역의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정책실패를 초래하기 십상이다.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효과적으로 정책을 집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발전격차 실태를 분석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농촌지역활성화 정책은 지역의 여건에 종속될 수밖에 없다. 특히 지역의 부존자원과 특성을 고려한, 지역차원의 이윤과 효용수준을 극대화하는 커뮤니티 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의 경우 지역실태분석에 기반을 둔 정책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아니할 수 없다. 지역 간·계층 간 격차실태와 그 확대요인을 동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커뮤니티 비즈니스가 효과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기초조건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본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facts and clauses of regional and class divides in the rural areas. The income divide between the regions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early 1980s. The regional divide was estimated in term of variation of GRDP. The estimation results told us that more favored region got the more rapid growth. So it is almost impossible to insist the trickle-down effects by investing resources on the more favorable regions and sectors.
Regions c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variations of GRDP, population and economic activities. All of regional economic promotion policy programs should be adjusted to their stereotypes. For the community business project, it is recommended to take a care of regions which have less population and less economic activities preferentially.
Researchers: Kyeong-Duk Kim, Ji-Eun Lim
Research Period: 2011. 1 ~ 2011. 10.
E-mail Address: kdkim@krei.re.kr, jel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0110
-
좋아요0
-
다운로드62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지역단위의 농공상 연대방안과 확대가능성
- 이전글
- 커뮤니티 비즈니스 중장기 육성방안(1/3차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