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지처분명령 운용실태와 개선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지처분명령의 제도적 구성
제3장 농지처분명령제도의 운용실태
제4장 외국 농지관리제도의 기본원리와 시사점
제5장 농지처분명령제도 개선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지관리제도는 농지취득자격증명에 의한 사전적 관리와 농지처분명령에 의한 사후적 관리로 운영되고 있으나, 농지취득자격증명의 발급요건이 대폭 완화되었기 때문에 경자유전 원칙을 관철하기 위한 실질적인 농지관리는 농지처분명령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사전적 농지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하에서 농지이용실태조사에 근거한 농지처분명령이 어느 정도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긴요하고 시의적절하다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농지처분명령에 대한 실태분석에 근거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제도구성 및 제도운용상의 문제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land system in Korea, which is based on the land-to-the-tiller principle, has been institutionally managed using the proof of qualification in land purchase and the land disposal order. However, the proof of qualification in land purchase lost its capability as a management tool, as the requirement for issuing the documents was quite eased in 2002. For complying with the land-to-the-tiller principle the land disposal order, which is a ex-post control, became the only tool for us to be able to use. It is critical to keep a stable land system and we ne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land disposal order successfully has been doing its role. If not, how to improve the managing system is a question we need to answer.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various ways such as literature review, interview, survey, and organizing experts meeting. First, we tried to generally look at land managing status by interviewing some local officials who are in charge of land managing and the government land survey to measure land usage status. Then a nationwide survey of local land managing officials was conducted for all the cities and town.
An investigation on the government land survey to measure land usage status indicated that the lack of manpower is a major problem. It makes the survey be limited in certain areas, making it hard to represent the nation. Accordingly, It can't be viewed as a thorough study hence the role of survey in preventing illegal land owning is happened to be limited.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effective land manag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have both ex-ante and ex-post tools and we currently have only a half of it. As a remedy to supplement the ex-ante, we suggest to introduce both a so called managing scheme in transaction and lease, and a preemptive scheme.
We have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land disposal order system. First, we need to differentiate the land with actual examination with the land in a regular government land survey. Second, The improvement of the land survey technique is necessary along with the increase of survey staffs and the corresponding budget. Thir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is a low of less than 1% notice of the disposition obligation, we need a more thorough land survey especially for the leased land. Fourth, the disposal deferral for the land that received the land disposal order has to be issued in more stringent ways. By doing annual review, we need to prevent unnecessary expunction of disposal obligation. Finally, for the land with overdue payments in execution enforcement fines, we allow the farmland bank to buy them in bulk exercising a preemptive right.
Researchers: Soo-Suk Kim
Research period: 2011. 7. - 2011. 12.
E-mail address: soosu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5192
-
좋아요0
-
다운로드2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한·일 한·중 FTA 대비 지리적표시 보호를 위한 대응방안 연구
- 이전글
-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정책 과제와 발전 방안 워크숍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