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신흥시장 농식품 수출확대 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식품 수출성과 분석
제3장 신흥 수출시장 분석과 전망
제4장 농식품 수출 마케팅 전략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연구는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현황과 특징을 고찰하고 수출 증대 요인 분석을 통하여 우리 농식품의 수출시장 확대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기존 주력 수출시장과 신흥시장에 대한 실증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수출 증대를 위한 여건을 제시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농식품의 수출 증대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력모형(Gravity Model)을 응용한 수출방정식으로 수입국의 경제규모(GDP), 우리나라와의 거리, 정부의 수출촉진 지원 등이 수출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주력 수출시장인 일본 및 대만과 신흥 수출시장인 중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해외시장에서 소비자 선호도 조사를 바탕으로 컨조인트 분석(Conjoint Analysis)을 실시하여 최적상품 속성조합을 도출하고 상품 유형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향후 시장점유율을 전망함으로써 시장 맞춤형 상품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is the second year report of the two-year collaborative research entitled 'A study on the agricultural export promotion strategies', which is led by the Korea Council of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Institu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ome effective agricultural export promotion strategies.
Various factors that affect Korean agricultural export have been analyzed by the Gravity model and found out GDP of the importing country and spacial distance from Korea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export amount. Also, government expenditure for export marketing increases agricultural exports.
In this study, emerging export markets were classified by four types; growth-potential neighboring market, growth-potential long distance market, hetero-geneous culture market, and fast-growing neighbor market. After selecting export promising product for each type of market, this study established export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the Conjoint Analyses and market-share simulations. Also, this study provided export pricing strategies for each market by the Price Sensitivity Measurement(PSM).
As a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some measures to expand agricultural export markets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 and collectivization are needed to overcome the limits of small-scale structure of Korean agriculture. Flexible and various rather than uniformed policies should be applied to this process since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s a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 farms, products, and the locations.
Second, restructuring of agricultural export industry should be enforced by the government and the industry themselves in order to expand export markets. Since the scale of exporting companies are too small to sustain in the market, they can't establish strong brand power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overseas market. Through the entry into and exit from the market according to its principle, they need to merge into the large and specialized enterprises.
Finally, government export promotion support should be indirect and long-lasting rather than direct and one-time exhausting ones. For example, current expenditure for export logistic would be better to transit to the support for construction of export infrastructure such as cold chain, proccessing facilities, and common warehouse, etc. Support for overseas marketing and buyer invitation costs can also be considered as export infrastructure expenditures which would led to the self-sustainable exporting farms and company.
Researchers: Myong-Keun Eor, Kyung-Phil Kim, Hyoung-Jin Jeon, Han-Pil Moon, Jung-Hee Han, Ji-Yong Lee
Research Period: 2011.1~2011.12
E-mail address: myongeor@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80913
-
좋아요2
-
다운로드72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농촌부문 녹색성장 추진전략 개발 (2/2차연도)
- 이전글
- 농식품 수출지원제도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