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림수산분야 발전경험 및 기술을 활용한 국제협력 모델 개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우리나라 국제협력의 동향
제3장 개도국 전수를 위한 기술과 경험
제4장 국제협력 모델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2010년 우리나라가 선진국들의 모임인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하게 된 것은 우리나라 역사상 큰 획을 긋는 것이었다. 이로써 헐벗은 가난한 나라에서 불과 40~50년 사이에 국제원조 공여국의 반열에 들어서게 되었다.
경제성장 과정에서 우리의 농업은 그 상대적 비중이 크게 위축되어 왔지만 녹색혁명을 비롯하여 농업의 모든 가치사슬 분야에서 많은 기술을 개발하여 왔다. 이미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새마을운동을 비롯한 농촌개발 전략과 각종 농업정책 등은 여러 빈곤국, 개발도상국이 배우고 싶어 하는 귀중한 경험과 기술이 되었다. 특히 이러한 과정을 체화한 많은 전문가들이 배출되어 풍부한 인적 자원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여건 변화에 따라 농림수산 분야에서 보다 체계적인 협력사업의 발굴과 추진이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정부와 기업, 비정부기구, 국제사회가 주체로 참여하고 우리의 경험과 기술을 원조 프로그램으로 묶는 국제협력 모델을 개발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s utilizing major development experiences and technologies in Korea which are potentially applicable to developing countries within agricultural sector.
Inter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on will be extended in terms of its budget and target countries from those in the regions of Southeast Asia and Africa to the countries of other regions such as South Asia and Latin America. Most of collaborative projects by those organizations under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MIFAFF) have so far been biased to short-term or one-time invitational training, seminar or workshop. It is suggested that they need to have linkage with longer-term or bigger program-based projects.
Through extensive survey of research papers and report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opinion collection from experts, this study picks out the experiences and technologies which have been created and developed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in agricultural sector, and are considered to be potentially applicable to developing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The list of items are then classified into categories of agriculture, rural development and agricultural policy.
These experiences and technologies constitute different "aid programs" and, in this study, we identify seven such programs. They are: ① rice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system building for its commercialization, ② horticultural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system building for its commercialization, ③ system building for livestock industry development, ④ agricultur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⑤ agricultural technology R&D and extension, ⑥ comprehensive rural development including Saemaul Undong, and ⑦ consultation for agricultural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The programs will have three forms of assistance: ① capacity building like technical training, ② consulting by experts, and ③ physical assistance such as the provision of facility, equipment, or materials. Four subjects may involve in the cooperation process, which are government or public agency, corporatio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or other country.
For efficient budget distribution, three groups of countries are identified. The first group, Urgent Agricultural Focus Countries, includes 16 countries, among 26 national focus countries, which need urgent agricultural cooperative activities. The second group is General Agricultural Focus Countries Type One, and it includes the rest 10 countries among the national focus countries. Under the final group, General Agricultural Focus Countries Type Two, are 15 poor countries which need urgent cooperative projects although they are not part of the national focus countries.
Researchers: Jang Heo, Daeseob Lee, Seung-Eun Jeong
Research period: June 2011 ~ December 2011
Email address: heoja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4188
-
좋아요0
-
다운로드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수출형 임산물 공동브랜드 관리를 위한 품질 관리방안
- 이전글
- 농어촌정책, 어디로 가야 하나 : 2011 제4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