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농어촌 대응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100세 시대 도래가 농어촌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영향
제3장 농어촌주민의 100세 시대 대비 실태
제4장 100세 시대 대비 관련 농어촌정책
제5장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농어촌 대응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100세 시대’란 평균수명이 100세가 된다기보다는 최빈사망연령(가장 많은 사람이 사망하는 연령대)이 90대로 높아져 점차 100세 이상의 생존자가 크게 늘어나는 현상을 지칭하는 말이다.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에서 주최한 토론회의 발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0년에 최빈사망연령이 90세를 넘어서게 되어 100세 시대에 이를 전망이다. 그 동안 먼 훗날 미래로만 여겨지던 ‘100세 시대’가 이제 우리들의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100세 시대가 우리들의 눈앞에 다가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대응은 크게 부족하다. 아직 우리사회의 모든 시스템과 국민의식은 80세 시대에 머물고 있다. 연금, 교육, 복지는 물론이고 취업, 정년제도, 그리고 개인의 재무 설계와 인생플랜이 모두 ‘60세에 은퇴하여 80세까지 사는 것’을 전제로 짜여 있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어촌주민의 100세 시대 대비 실태를 조사하고, 국내·외의 관련 정책을 검토하여,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농어촌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ovision situation for 100 years-old time of rural residents, 2) to identify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arrival of 100 years-old time, 3)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related policies, and 4) to suggest rural policy tasks to confront the arrival of 100 years-old time.
Method of Research
Research methods include collection of existing related data, re-analysis of previous data, field survey, analysis of foreign cases, and so on. Existing re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lated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among 500 rural resident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 were used to organize and summarize the data.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Rural policy tasks to confront the arrival of 100 years-old time were classified into 7 fields: health and medical service, income and consumption, job,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child-care and education, and housing.
In the aspect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rural policy tasks to confront the arrival of 100 years-old time are as follows: 1) construction of regular resident health control system, 2) introduction of special health checkup system for farmers and fishermen, and 3) reinforcement of meal service and nutrition improvement programs.
In the aspect of income and consumption, rural policy tasks to confront the arrival of 100 years-old time are as follows: 1) improvement of national pension system for farmers and fishermen, and 2) improvement of farmland pension.
In the aspect of job, rural policy tasks to confront the arrival of 100 years-old time are as follows: 1) support of the elderly-friendly farming, and 2) rearing of rural community business.
In the aspect of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rural policy tasks to confront the arrival of 100 years-old time are as follows: 1) management activation of rural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2) reinforcemen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rural schools.
In the aspect of child-care and education, rural policy tasks to confront the arrival of 100 years-old time are as follows: 1) expansion of rural experi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2) life design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aspect of housing, rural policy tasks to confront the arrival of 100 years-old time are as follows: 1) nationwide expansion of group home tasks utilizing the elderly hall, village hall, and so on, and 2) systematization of 'back-to-earth' support.
Researchers: Dae-Shik Park, Sang-Jin Ma, Kang-Ho Kim, Seung-He Rhu
Research Period : 2011. 9 ~ 2011. 12
E-mail Address: pds8382@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9282
-
좋아요2
-
다운로드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Strategies for Promoting Green Growth in Agriculture and Rural Districts (The 1/2th Report)
- 이전글
- 수출형 임산물 공동브랜드 관리를 위한 품질 관리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