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선진 농업금융 사례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정여건 변화와 농업정책금융의 실태
제3장 일본의 농업금융
제4장 미국의 농업금융
제5장 프랑스·독일의 농업금융
제6장 호주·뉴질랜드의 농업금융
제7장 농업정책금융의 개선방향과 과제
요약문
농업금융은 농가의 원활한 영농활동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농업정책금융은 농업부문의 시장실패를 보완하고 원활한 자금 공급을 통해 영농활동을 지원한다. 이 연구는 선진 농업금융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전개될 농업여건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농업정책금융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농업부문은 규모화와 조직화가 진행되면서 보다 자본 의존적 농업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한편, FTA 추진으로 농업 내부의 양극화 현상도 불가피할 것이다. 또한 고령화와 저금리시대의 도래, 농협중앙회의 금융지주회사체계로 개편, 농업부문의 리스크관리의 중요성, 지방화의 확대에 따른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금융서비스 수요 증대 등의 농업금융 여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금융 부문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등 6개국의 농업금융 실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선진 농업금융 사례분석을 통해 지원 목적과 방향의 명확성, 지원기관 간 역할분담, 지원 자금 성격의 구분, 지방정부의 역할 강조, 농가특성별 자금지원, 금융수단을 통한 소득안정 등 지원체계와 운영방식 측면에서 참고할 만한 시사점이 다수 도출되었다. 사례국가 분석의 시사점과 현행 농업정책금융 실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향후 농업정책금융의 개선 방향과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Under short-and long-term agricultural financial condition rapidly changed, the current systems for support and management need to be improved in agricultu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our way for utilizing functions of financial institutions, investigating agricultural finance systems in several countries-Japan, USA, France, Germany, Australia and New Zealand.
In agricultural governmental financing system, it has been most important to diversify the way of farm household's financing. The system should include the developed credit management system for risk management.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f developed agricultural finance system is the key role in this study.
In chapter 2, we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olicy-based agricultural financing. Annual new supply reached by end of 2010 to 9 trillion won which has been increased since 2006. On the balance scale, the agricultural policy financing was 23 trillion won by the end of 2010. As its scale was expanded, financial resources and management institutions have been spread out in complicate. Inefficiency issue is brought eventually. We suggest evaluating the role and challenges of ‘Credit Guarantee Fund for Farmers and Fishermen’. Its purpose is to assist in the balance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and fishery economies by guaranteeing the loans for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who need the business fund from financial institutions but do not have ability to provide collaterals.
In the case of Japan, it has the unique system that headed a task force incorporated into the financial system. The system includes the general public,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ir interest rate is legally fixed and the market interest rate is subsidized by government.
Financial supply to agriculture in USA, in principle, leaves the financial market. For new farmers and vulnerable groups, they are specially supported by the FSA. The system establishes a clear role of each institute and is operating consumer-oriented funding programs.
In chapter 5, the agricultural financing systems in France and Germany are reviewed. Both countries experience the recent decline of agricultural governmental financing. In France, only agricultural successor support program (DJA) remains. The role of Rentenbank is reviewed as a main part of policy in Germany where many parts of governmental agricultural financing are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the government focuses on risk management and the supporting program for low income farm households, abolishing the agricultural subsidy and emphasizing the role of private sector.
Exploring the agricultural financial system related to government in developed countries, sever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the system needs to be clarified for higher efficiency. Second, the policies related to agricultural finance should provide considering heterogeneous beneficiaries. The specific challenge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Korean system in the final chapter.
Researchers: Joon-kee Park, Seong-jae Park, Mee-bok Kim
Research period: 2011. 9. - 12.
E-mail address: jk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0918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소비자 부류별 김치소비실태 조사연구
- 이전글
- 농업부문 국별협력전략(CPS)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