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안양·군포·의왕 공동급식지원센터 설립 타당성 및 운영 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 현황
제3장 지역 식재료 생산 현황
제4장 학교급식과 식재료에 대한 인식
제5장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체계 개선방안
제6장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규모와 물류센터 확보방안
제7장 학교급식지원센터 운영 방안
제8장 공동급식지원센터 설립 타당성
제9장 공동급식지원센터 운영 계획
요약문
최근 학교급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학교급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에게 안전하고 높은 품질의 급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학교급식에 친환경농산물과 친환경 식재료의 사용을 확대하고자 하는 시도 역시 학교급식의 품질을 제고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친환경 식재료의 공급, 지역산 식재료의 공급 등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에 대한 사회적 관심 역시 확대되고 있다.
학교급식법에 의하면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 체계의 개선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립·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광역 자치단체 차원에서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안정적으로 친환경농산물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시군 단위에서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립하려는 시도도 확대되고 있으며, 하나의 학교급식지원센터가 인접한 복수의 시군에 식재료를 공급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지역에서 해당 지역의 특성에 맞는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립·운영하는 시도가 확산되고 있다.
안양·군포·의왕시는 서로 인접해 있으며, 3개시의 초중고등학생의 수가 16만명에 육박하는 지역이다. 3개시가 개별적으로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립하는 것보다 공동으로 설립·운영하는 것이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인식 하에 이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이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안양·군포·의왕시의 학교급식과 농업 및 식품 산업 실태 조사, 영양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조사, 국내외 사례 조사, 비용-편익 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동급식지원센터의 설립 타당성과 합리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Variety issues related to school meal and school meal support center being discussed, but due to insufficient operating experience, discussion does not come to a conclusion. Ways to build joint school meal support center are discussed by Geographically adjacent, Anyang city, Gunpo city, and Uiwang city. By doing so, it is expected that efficient school meal supply system can be sett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easibility of joint school meal support center, and to suggest efficient ways to build it.
Administrative Statistics of Anyang city, Gunpo city, and Uiwang city are utilized to find out present situation of schools, students, agriculture, food manufacture, and so on. Monthly usage data of school meal cooking ingredients in 2010 school year were analyzed to estimate commodity demand. To identify related issues,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utrition teachers, administration officials of school meal, and food suppliers. Japanese school meal system was analyze by literature. A Case Study of various regions in Korea was conducted. The feasibility of joint school meal support center was analyzed by benefit-cost analysis methods.
Number of students reaches 157 thousands, 15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have been opened in Anyang city, Gunpo city, and Uiwang city. Proportion of weight of school meal food ingredients are as followed, processed food 48.7%, 23.2% fruit and vegetables, grain 15.1%, livestock 8.8%, fishery 4.2%. Total consumption size of commodities a year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s estimated to be 15,894 tons - grain 2,505 tons, 3,750 tons fruit and vegetables, livestock 1,501 tons, fishery 679 tons, processed foods 7,450 tons. Total amount of supply is estimated to be 59.1 billion won - grain 6.1 billion won, 14.3 billion won fruit and vegetables, livestock 12.4 billion won, fishery 5.9 billion won, processed foods 20.5 billion won.
Joint logistics center of Anyang city, Gunpo city, and Uiwang city can reduce operation costs, compared to in case of operating their own logistics center. The analysis shows that logistics center can be efficiently operated by private sector rather than operated by city.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joint school meal support center is more efficient than centers operated individually.
It is recommended to organize school meal administrative council to decide main issues related to operate joint school meal support center. The school meal administrative council has to reflect opinions of private sector advisories and NGOs. To operate joint school meal support center, related ordinace is enacted, and budget should be secured. Joint school meal support center expand its business area step by step. As the business grows, expanding size of organization would be reasonable.
Researchers: Gouk Seung-Yong,
Research period: 2011. 10. - 2012. 5.
E-mail address: gouksy@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4381
-
좋아요0
-
다운로드1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타당성 분석 연구
- 이전글
- 귀농·귀촌 관련 정보제공 체계와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 세미나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