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타당성 분석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기계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제3장 세계 농기계 시장 동향과 해외 진출 가능성
제4장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 필요성 및 여건 분석
제5장 국내외 유사사례 분석 및 시사점
제6장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기본 구상 및 건립 계획
제7장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8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국내 농업은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FTA·DDA로 인한 시장개방 확대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정부지원을 바탕으로 한 농업기계화 추진은 농촌노동력 부족 문제를 상당부분 해소함으로써 안정적인 농산물 생산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농기계산업이 농업발전에 기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농기계 보조지원 폐지 등으로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농기계 제조업체의 가동률은 하락하는 등 농기계산업은 전반적으로 커다란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더욱이 중고농기계 거래가 활성화되지 못해 자원낭비와 환경 문제도 대두되는 상황이다.
농기계산업이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적으로 농업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수출확대와 같은 새로운 수요창출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 하며, 중고농기계의 거래활성화와 수출 모색으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농기계 수출확대와 중고농기계 유통활성화를 위한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부의 농기계수출 종합유통지원센터 건립의 기본구상 및 기본계획 수립과 사회·경제적 효과 등을 분석하여 정부정책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The agricultural machinery industry,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is faced with a crisis due to adverse market conditions such as declining demand. Nevertheless, the industry has to overcome the current difficulties and lay down a foundation for a new leap forward as it is a backbone industry of agriculture. One of the ways to overcome such a difficult situation is none other than to expand the export of agricultural machinery. The government, too, recognizes the importance and is currently working on to establish an agricultural machinery export complex. With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construction of the export complex by laying out a blueprint for its construction and by analyzing the social and economic effects of the project.
The agricultural machinery industry in Korea has been losing steam as a result of further opening of the domestic market to agricultural imports, declining rice consumption, and the flight from agriculture. Moreover, the industry is showing signs that it has hit the stagnation point in creating new markets since the abolishment of government subsidies. As a result, the manufacturers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The factory operation rate is falling and business scale, too, is getting smaller. One of the ways to overcome such a situation is to create new demand by expanding the export. However, since export expansion is still lacking considerably with respect to technology, public promotion, and marketing,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eparate institution that can provide systematic support. Besides, establishment of an agricultural machinery export complex conforms with the government policy since such an establishment is stipulated by law.
In establishing the export complex, it is necessary to install facilities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so that the export complex can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aimed at promoting agricultural machinery export. The facilities to be installed include an export support center, a second-hand agricultural machinery and equipment export center, a history hall (museum), and a future vision hall, a training center for the education of how to use agricultural machinery and equipment, a testing facility, a distribution center for SMEs, and a bonded warehouse.
It was analyzed that if the export complex is built in the city of Cheonan, the economic benefit would amount to about 27.3 billion won for the city and 204 billion won for Chungnam Province. On the employment side, it will create 1,233 jobs in Cheonan and 1,598 jobs in Chungnam. In addition to bringing such benefits to the local econom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the policy effect of increasing the export by 12~25%. Also, since the city of Cheonan will be hosting the Korea International Exhibition of Machinery, Equipment, Science and Technology for Agriculture (KIEMSTA), the export complex can provide many things to see and do for exhibition visitors and transform the exhibition into a lasting event that can contribute greatly to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Researchers: Chang-Yong Kang, Ki-Hwan Park, and Ah-Reum Ju
Research period: 2012. 1. - 2012. 5.
E-mail address: cykang@krei.re.kr, kihwa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2121
-
좋아요0
-
다운로드2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산물 유통구조개선 사업군 심층평가 : 2011년도 재정사업 심층평가 보고서
- 이전글
- 안양·군포·의왕 공동급식지원센터 설립 타당성 및 운영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