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지역 마을회관 이용 실태 조사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촌 마을회관 개념과 현황
제3장. 농촌 주민의 마을회관 이용 실태
제4장. 마을회관 이용 활성화 방안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촌지역 거의 모든 마을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회관은 1970년대 초 새마을운동 추진을 위한 주민회의 공간으로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4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 마을회관은 농촌주민들에게 공동체 활동 공간이면서 휴식처로, 소통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는 가장 중요한 공동시설이다.
농촌지역은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고령화율은 도시에 비해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같은 환경변화는 마을회관의 기능과 이용자층의 변화로 이어져 주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기능은 약해지고 노인 중심으로 경로당화 되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운영프로그램과 관련 정책 및 제도는 미흡한 실정이다.
농촌주민들의 중요한 공동시설인 마을회관의 관리와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마을회관이 농촌사회의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제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 정비와 기능을 정립하는 계기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다문화가정과 귀농귀촌 인구 증가 등 최근의 변화를 반영하여 중장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마을회관의 다각적인 활용방안을 검토할 시점이다.
이 연구는 농촌지역 마을회관 이용 실태를 전반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The community centers were established in the same shape as the present one in every town nationwide led by the government to promote the Saemaul Movement in the early 1970s. Since then, after about 40 years, there were large changes in the name and functions of the community center along with the changes in rural population and environment. But it is still used as the most important community facility in town.
Recently, as the population in rural areas has been reduced continuously and as the aging of population progressed faster than in cities, the central functions and users of the community center are changing, but its operational program and related policies and system to accept positively the changes of the community center are insufficient. This study wa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a vitalization plan through research about the overall use of the community center. For the analysis on the use of the community center, we surveyed rural residents by mail for one month in June 2012 and analyzed 625 valid questionnaire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85.5% of the towns use the facility in multiple ways as a community center and a senior citizens center. Also, as operation programs and policy supports are made focusing on elders, the function as a community space for residents has been weakened and the trend that the community hall gradually becomes a senior citizens center is vivid. The use ratio of the community center is 85.6% but when considering only the original purpose of the community center, more than 3 of 10 are in idleness. Therefore, multiple use plans should be prepared.
The elders and housewives are the main users of the community center and in 82.3% of the towns, meals are served mostly for them. The most necessary parts in providing the meals are costs and manpower. Since the public services and facilities provided to the community center are mostly for elders, there is a limitation in using the facility as a multi-purpose community center where every resident participates. It is also investigated that 6 of 10 towns have conflict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the community center. In the survey, 82.6%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community center is the only community facility and 88.8% responded that the community center is very important in town.
Accordingly,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function of the community center and prepare a vitalization plan with a futuristic viewpoint reflecting the changes in rural areas.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clear entity to supervise the community center administratively, a policy support system for the community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Along with these, it is needed to develop a managing and operation model for the community center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population, distance from downtown, and cultural environment.
Researchers: Dong-Weon Kim, Byoung-Hoon Lee, Kwang-Sun Kim, Hye-Jin Park
Research period: 2012.4 ~ 2012. 7
E-mail address: dongweo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24696
-
좋아요0
-
다운로드129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밭농업 직불제의 생산유발 효과
- 이전글
- 중장기 농정 이슈와 대책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