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부문 위험과 포트폴리오에 관한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업부문 위험 현황
제3장 농업부문 위험지수
제4장 농가 품목 포트폴리오와 위험지수
제5장 정부의 지수이용 위험관리
제6장 농업부문 위험지수 활용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태풍·냉해 등의 자연재해와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 등의 가축질병과 같은 여러 형태의 위험으로부터 농업은 크게 위협받고 있다. 정부와 농업인은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전략을 통해 위험관리를 하고 있다. 하지만 농업부문의 위험은 다른 산업에 비해 민감하고, 다양한 출처에서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위험의 지역별·농가별·시기별 발생 정도를 파악하기 힘든 비정형화된 위험인 까닭에 정부의 위험관리가 단편적이고, 농가의 위험전략 역시 체계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농업이 직면한 여러 가지 위험에 대하여 지역별·품목별 이질적인 특성을 고려하고, 위험을 수치화하여 농가의 품목 포트폴리오의 위험수준을 평가하고, 지역과 국가 전체가 직면한 위험의 정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이질적 변동성을 가지는 위험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농업부문의 지역별·품목별 위험지수를 측정하고, 적합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The domestic agricultural industry is faced with great challenges due to various risks, thu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risk management by farmers and the governmen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ims to quantify the risks faced by the domestic agriculture on the production side and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risks.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s and production portfolios, and the risks in agriculture, such as changes in yield and price, are categorized to help understand the risk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In chapter 3, we quantify the risks in production and price. After summari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isk indices, Roy’s safety-first ratio (SF ratio) is examined to quantify the risks. Several data sets are used, including the yields and prices of crops and livestock.
In chapter 4, we analyze the risk index of farm household’s portfolios using all information. Roy’s SF ratio is non-linearly related to the share of rice production in farm household's portfolio. However, Roy’s SF ratio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share of livestock.
In chapter 5, we also evaluated the risks of Korean agriculture. In the last 20 years, Korean agriculture has kept certain portfolios composed of rice, vegetables, fruits, livestock, etc. In order to quantify the risks of these portfolios, we employed the Value at Risk and considered changes in quantified risks due to weather variations.
Finally, five adaptations of the risk quantification are suggested. Even though there is difficulty of modifying a financial method to agricultural products, this study underscores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quantified risks for farm households and the government.
Researchers: Meebok Kim, Changho Kim
Research period: 2012. 1. - 2012. 11.
E-mail address: mb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3857
-
좋아요0
-
다운로드54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부문 자조금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 이전글
- 농업부문 가상수(virtual water) 도입 및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