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축산업의 후방연관산업 구조와 발전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축산업 후방연관산업의 현황
제3장 축산업과 축산연관산업의 구조분석
제4장 일본의 축산업 후방연관산업 현황 및 시사점
제5장 축산업 후방연관산업의 발전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최근 축산업은 FTA에 따른 시장개방, 국제곡물가격 상승, 질병 발생, 축산업에 대한 규제강화 등 축산업과 관련한 대내외 여건이 악화되면서 축산업의 질적인 성장에 대한 요구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축산업의 질적 성장은 축산업의 투입재로 사용되고 있는 사료, 동물약품, 축산기자재, 수의·방역 등 축산업의 후방연관산업의 지원이 없이는 달성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축산업 후방연관산업은 사료산업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인 통계자료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할 정도로 정책적인 관심에서 다소 소외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축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사료비용 절감, 질병예방을 통한 생산성향상, 가축분뇨의 환경문제 해결 등 축산업 후방연관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때이다.
이 연구는 축산업 후방연관산업인 사료산업, 동물약품산업, 축산기자재산업을 중심으로 산업별 현황과 당면과제, 정책, 상호연관관계 등을 분석하여 축산업 후방연관산업의 발전방안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Background of Research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s, the livestock industry has faced the need for paradigm shift from the existing quantitative growth to a sustainable qualitative growth, reflecting the change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that include the market liberation by FTA, the rise in international grain prices, the outbreak of diseases such as foot-and-mouth disease, the tightening of regulations on the livestock industry,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safe livestock products. For sustainable qualitative growth of the livestock industry, it is essential to support the upstream livestock industries such as feed industry, animal drug industry, livestock equipment industry, and quarantine and pest contro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conditions, challenges, policies and the correlations of upstream livestock industries are analyzed focusing on animal feed, animal drugs and livestock equipment based on the plan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upstream livestock industries.
Method of Research
In order to identify the economic impacts of the livestock sector on the national economy in general and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livestock industry and its related industries, an input-outpu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itz-Spaulding model with the past 20 years’ input-output table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Meat and processed meat products, dairy products, animal feed, and agricultural machinery have showed high growth rates over the past 20 years. However those are low in comparison to the total industrial growth rate of the nation. Also, it is shown that the added-value ratios are lower than those of other industries. However, it appears that the livestock industry and its related industries have more effect on inducing production and employment in comparison to other industries, making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economy. They also have high linkage effect, implying that their development has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the entire economy.
It is expected that upstream livestock industries will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livestock industry and that of the national economy in general as a new growth engine that will drive out the livestock sector from current stagnation. In particular, upstream livestock industries are evaluated as being capable of sustaining growth with the expansion of domestic market and export market. Therefore, the substantiality of upstream livestock industries, including feed industry, animal drugs industry, livestock equipment and livestock construction industry, and quarantine and pest control industry, should be ensured, so that they can drive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livestock industry.
In order for upstream livestock industries to drive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livestock sector, the following are required. First of all, the current small-scale businesses should convert into competitive scaled-up businesses through industrial restructuring. Secondly, the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needs to be expanded so as to improve the added values of the livestock industry and its upstream industries. Lastl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dvance into the overseas market.
Researchers: In Bae Ji, Woo Jin Song, Jung Min Lee
Research Period: 2012. 1~2012. 12
E-mail address: jiinba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2835
-
좋아요2
-
다운로드122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국제곡물시장 분석과 해외곡물시장정보체계 구축 및 운영
- 이전글
- 한·칠레 FTA 국내대책의 경제적 효과 분석 :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