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여성농업인의 경제·사회적 역할 제고방안(1/2차연도)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여성농업인의 시대적 변화와 정책 개요
제3장 여성농업인의 경제활동 실태
제4장 여성농업인의 사회활동 실태
제5장 해외 여성농업인의 경제·사회적 활동
제6장 여성농업인의 경제·사회적 역할과 과제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오늘날 여성농업인은 농업생산의 주요 인력일 뿐만 아니라 지역 전통식품의 손맛을 간직한 기능보유자이고, 안전한 농식품 생산에 신뢰가 기대되는 경영인으로 그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여성의 ‘생명 보살핌’ 역할에서 비롯된 농산물 가공이나 농업의 가치를 다음 세대에 알리는 체험 및 교육농장의 운영은 여성농업인에게 경쟁력 있는 분야이고 농업의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여성농업인이 농업 노동시간 증가와 경영 참여의 정도가 증대하는 경향은 농업의 노동인력뿐만 아니라 경영인력으로 역할이 커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실태 조사를 통해 여성농업인의 생활과 일에 관계된 제반 조건을 살펴보고 경영인으로 활동 가능성과 잠재 능력을 도출하는 것은 여성농업인의 경영인력 육성화 정책에 도움이 될 것이다.
2년에 걸쳐 진행될 이 연구는 1차년도에 농업부문과 지역사회에서 여성농업인이 참여하고 있는 경제·사회 활동의 실태를 규명하여 여성농업인의 현재 위치를 검토하고 농업부문과 지역사회에서 여성농업인의 경영 능력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Background of Research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political task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women farmers and develop their management capability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the local communities, by closely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the local communities in which they participate.
These days, the women farmers’ particip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has increased, as main producers, managers, and non-farming income earners, agricultural products salespeople, and farming CEOs. The fact that the hours of labor by women farmers and the degree of their participation in agricultural management have increased signifies that the women farmers’ role as management personnel as well as labor force has increased.
Method of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village survey"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of women farmers. The target audience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women farmers who reside in rural areas (Eup/Myeon) and who are aged 19 years or more and less than 65 years. This is becau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on fostering women farmers as business managers. A total of 702 women farmers were sampled and the sampling has a reliability of 95% with a maximum sampling error of ± 3.70%. The survey, which was entrusted to Research & Research, Inc., was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ing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ampling was allocated to different regions (Gyeonggi/Gangwon, Chungcheong, Jeolla, Gyeongsang) for a target audience of 175 women farmers per region, and it was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rural village types (suburban, plains, mountainous), cultivated items, farming scale, and life cycle. The survey period was from July 20, 2012 to August 8, 2012. In the case of the villag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directly by the researchers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as the one used in the nationwide survey. Since it is difficult to find a common ground for each village as cultivated items and farming scale vary among farm households, three villag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gricultural off-season is an objective indicator.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When the entire farming process from production to sales is assumed as 100%, the women farmers, except those in their 20s and 30s, take care of 50% or more of it. It shows that the larger the farming scale and the higher the facility farming rate, the more the women farmers participate in farming.
Change in the women farmers’ roles is related to the socio-economic structure.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the society in general has deepened the tendency of pursuing the individualism and equality. In agriculture in particular, this family relationship has been converted to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in which each member’s role in farming is decided depending on his or her specialty and talent and the family perform their roles in collaboration with each other. As agriculture expands its scope from the primary industry into the secondary and the tertiary industries, the women farmers have emerged as the principal party of the secondary and the tertiary industries instead of remaining as the assisting party of the primary industry. As the feminine qualities such as care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are the basic elements that ensure competitiveness of the secondary and the tertiary industries which are the processing and the service industries, the women farmers have more opportunities to exert their qualities are CEO. To provide such opportunities to the women farmers is the focus of future training for the women farmers.
Researchers: Eun-Mee Jeong, Sang-Jin Ma, Ja-Hye Min
Research period: 2012. 1. - 2012. 10.
E-mail address: jeonge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2823
-
좋아요0
-
다운로드38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2/3차연도)
- 이전글
- 물가안정을 위한 축산물과 축산식품 유통체계 개선 연구(2/4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