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맞춤형 대북 농업협력사업 추진방안 연구 : 효과성과 지속성 증진을 위한 대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대북 농업교류협력과 평가
제3장 북한 맞춤형 농업개발협력의 유형과 구상
제4장 북한 맞춤형 농업개발협력 프로그램
제5장 북한 맞춤형 농업개발협력 추진 방안: 협력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제6장 요약 및 제언
요약문
지난 5년간 남북관계는 경색 국면이 지속되었다. 그로 인해 남북한 간의 사회·문화·경제 부문의 거의 모든 교류와 협력은 중단되었다. 그 기간 동안 북한 주민은 식량 부족과 경제난 심화에 고난을 겪었다. 대북 교역과 경협사업을 추진하던 남한의 기업들도 어려움을 호소했다. 국내의 대북지원 단체와 기관들도 날로 악화되는 북한의 인도적 상황을 염려하며 남북관계 개선을 촉구했다. 그런 여망에 힘입어 최근 들어 여러 방면에서 남북관계가 변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러한 변화 상황에 대비해 남북 농업교류협력을 새롭게 준비할 필요가 있다. 남북한 간의 농업교류협력은 199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돼 2007년까지 활발히 추진되었다. 특히 민간지원단체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추진한 대북 농업교류협력사업은 북한의 해당 지역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 농업생산 증대, 농자재 및 생산기술 지원 등 많은 부분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개선해야 할 과제도 여전히 존재한다. 농업협력사업 자체의 효과성과 그 효과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과제이다. 이제부터는 대북 농업개발협력사업의 효과와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맞춤형 농업협력사업’을 발굴하여 효과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북한의 상황에 적합한 적정협력, 북한의 농업협력 수요에 맞춘 협력분야의 선택, 북한의 경제개발 전략에 조응하는 선도적 농업협력사업의 추진이 필요한 것이다.
Background of Research
The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executed in the 2000s is made up of three types of cooperation as follows: humanitarian aid by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development assistance by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and economic cooperation by enterprises. A number of accomplishments were made through the cooperation. First, the North Koreans' humanitarian situation has partially improved through food assistance. Second, agricultural productivity has increased through agricultural inputs such as fertilizer and technological assistance. Third, the South and the North learned lessons that strategic agricultural cooper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on. However, several reflective points can be mad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Method of Research
We failed to set clear goals and targets for the cooperation. As a result, we could not develop methods to strategically aid when executing the programs. We did not reflect the changes in the situation coming from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o our programs. We did not prepare alternatives for unforeseen situations. We did not sufficiently consider internal conflict among our people. We have to overcome the past failure when we start new program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offer customized agricultural cooperation programs to North Korea.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Implementation of the effectiveness agenda regarding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follows, first, focusing on aid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outcome across all areas of the aid program and, second, using the customized cooperation approach to increase aid effectiveness of agricultural cooperation. We have identified three types of cafeteria cooperation programs suitable for North Korea. The first is the most frequent type of cooperation which reflects current economic situation and resource endowment of North Korea. The second type is an ownership induced cooperation which supports North Korea's agricultural polices and needs. The third type is a leading cooperation which induces opening doors and economic reform in North Korea. This study suggests 8 programs, such as rural development behind special zones, and 17 projects such as the expansion of potato production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his study suggests four effectiveness principles for the customized agricultural cooperation. The most important is to set clear goals and to approach with a strategy. Second, a sustainable outcome is a key component of effective aid. Third, strengthening the capacity is the core idea for both parties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on. Fourth, good governance is strongly emphasized to achieve effective cooperation. Fifth, expanding partnerships among the government, aid providers and
enterprises.
Researchers: Young-Hoon Kim, Min-Ji Nam and Tae-Jin Kwon
Research Period: 2012. 1~2012. 11
E-mail address: kyhoo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2367
-
좋아요0
-
다운로드119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가공식품물가의 장단기 변동요인과 대응방안
- 이전글
-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2/3차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