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어촌 정주공간의 변화와 정책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쟁점
제3장 농어촌 사회·경제 여건의 변화
제4장 농어촌 정주공간의 실태와 특성
제5장 선진국 농어촌 정주공간 변화와 시사점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어촌 정주공간이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장차 어떻게 변해갈지 진단하고 그에 대응한 정책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이 연구가 출발하였다. 2개 연도에 걸쳐 수행되는 연구의 제1차 연도에 해당하는 올해는 농어촌 정주공간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보다 정확한 현상 진단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농어촌 정주공간의 구성 요소인 인구, 생활환경, 경제활동, 공동체 등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공간적으로는 배후 마을과 소재지를 모두 포괄하였다. 또한 연구 방법에서도 전국적인 수준의 통계 분석과 4개 시·군의 12개 읍·면에 대한 심층 조사를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힌 결과들은 우리나라 농어촌의 변화 양상을 보다 입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농어촌 마을의 과소화 실태와 마을 공동체의 역할 변화, 그리고 농어촌 중심지와 배후지의 관계 변화 등은 농어촌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of Research
Our country is experiencing population drain, hollowing out and aging due to continuous decrease in population. However,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returning to a rural region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leaving a rural region is decreasing, and therefore the trend of decrease in population is rather stagnated or is slowing down. However, settlement space in rural areas is rapidly changing together with such changes, and pertinent policies need to be changed as well.
Method of Research
In this regard, the definition of settlement space was given through literature review while examining the analysis on the factors that affect such changes. And based on the statistics, the statuses of socio-economic settlement conditions were compared, and surveys on the attitude toward settlement and changes in settlement space were conducted. Lastly, changes in settlement space pursuant to the changes in rural areas of advanced countries and subsequent government policies were described, and implications to domestic policies were derived.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Major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changes in the settlement space of rural areas are as follows. First, populations of the villages in the center were increasing and the houses of people who returned to a rural area were forming a complex at a place distant from existing villages or were individually located, thus the houses were forming an another village separated from existing villages.
Second, economic activities in which people in rural region are engaged were generally concentrated in the domestic market.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inward and outward commutation volumes revealed that the range of increase in outward commutation in Yangpyeong was bigger compared to the inward, and inward commutation of 3 counties except Yangpyeong was getting bigger than outward commutation.
Third, the result of a survey conducted on the changes in the frequency of central area visits by rural villagers to make use of basic services revealed that the functions of Eup and Myeon as centers of the basic services seemed to be maintained in general.
Fourth, in relation to community activities in the rural region, activities such as general meeting, joint condolence or congratulation event or fellowship meeting seemed to be actively carried out, but the activities such as joint agricultural work or road and waterway management were not active. And some villages that are trying to find a way out through urban-rural exchanges have a positive perception on the future of their communities.
Through this analysis, this research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opulation drain is diffused in a considerable number of rural villages, and according to such phenomenon community activities which are performed at the village level became vulnerable in many regions. Second, some villages are seeking a new way out through urban-rural exchanges, but it is fundamentally difficult for the population-draining villages with many aged people to participate in such activities. Third, even in the case of village level activities, farm tour activities based on individual interest were activated but the activities which were carried out by traditional village community are anticipated to be continuously weakened.
Researchers: Ju-In Seong, Si-Hyun Park, Yong-Ryul Kim, Byeong-Seok Yoon, and Ki-Cheon Nam
E-mail address: jise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2904
-
좋아요0
-
다운로드44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통상정책 방향
- 이전글
- 농어촌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