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 생산·경영 구조의 변화와 전망: 2000·2005·2010 농업총조사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구조와 농가형태
제3장 농가인구와 경영구조 변화
제4장 농업 생산구조
제5장 농업생산성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1990년대는 한국 농업의 구조 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시기이다. UR 협상의 이행과 함께 세계무역기구(WTO) 출범으로 인하여 시장개방의 효과가 농업구조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2000년대 접어들면서 거대경제권과 FTA체결, WTO/DDA 협상 등 시장개방속도는 더욱 가속되었다.
농산물시장의 개방은 전업농 중심으로 해당농가의 생산, 경영 구조가 전문화 되면서 시장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작부체계의 다양성 저위를 초래함으로써 대내외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우리 농업의 유기적 적응능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농업·농촌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찾으려는 귀농·귀촌의 급격한 증가, 40~50대의 장년층 인구의 순유입 등 대내외 환경 변화에 반응하는 농업과 농촌에서 새로운 모습이 감지되고 있다.
이러한 농업·농촌구조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농업총조사 통계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10년간 2000, 2005, 2010년의 3개 연도에 걸쳐 조사가 실시되어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는 2000·2005·2010년도 농업총조사를 이용하여 최근 10년간의 농업구조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를 전망함으로써 관련 정책 및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related policies and researches and researchers through analysis and to forecast Korean agricultural structure using data sets of Korean agricultural census (1990, 1995 and 2000). Especially, the analysis of farm family member structure, farm labour structure, land use structure, agricultural production structure and farm management structure is a key focus in this study.
Korean agricultural census (survey of farm population) is to find a basic structure of the Korean agricultural including farm household, farm population cultivated area, crop harvested area livestock, farm machinery and so on. The type of farm family member and generation are considered in the analysis of farm family member structure. The structure of farm-household, number of farm family members, the farm manager's age will be analyzed.
Looking at the age structure of farm population in 2010, the Korea harm-household already belonged to the super aged society. Referring to this aging trend, it is predicted that the proportion of over 64 year-old farmers will be 45% by 2010. In results, the analysis of farm labour structure displays the decreasing trend of farm workers and the aging trend.
The study results show that 85 percents of over 50 years old (farm family members) were employed in agriculture and 90 percent of over 60 years old (farm family members) were employed in agriculture in 2010. And another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agricultural workers was 1.95 persons (per household on average) among the full-time farm households and 2.16 persons among the part-time farm households. The farm households possessing farming successors accounted for 16.4 percent in 1990. Yet, the figure dropped to 11 percent in 2000. However, successors over 30 years old and women successors increased recently.
As for land use structure, the proportion of both the poor and large farm households increased remarkably. In other words, there wa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And cultivated land was concentrated among the large farm households.
That is, the agricultural resources such as cultivated land and livestock have been concentrated among the large farm households. Capital-intensive agriculture such as greenhouse horticulture and livestock have been increasingly dominated by the full-time farm households.
With these analytic results, we drew out several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ed several policies for structural adjustments in the Korean agriculture. Agricultural structure-related policie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types of farm household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agriculture and accelerate agricultural restructuring, policy measures sh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different development types of farm households. However, instead of forcing the measures, the government should propose a variety of programs and let farm households select what they like.
Researchers: Kyeong-Duk Kim, Jeongho Kim, Jongsun Kim
e-mail Address: kd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8940
-
좋아요0
-
다운로드201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 이전글
-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원예·특작산업 발전전략(1/2년차) : 원예산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