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시대변화에 따른 농업·농촌의 공익적·경제적 가치 재조명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의 변화
제3장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항목의 설정
제4장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의 경제적 평가
제5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요약문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다원적 가치)에 대한 논의는 UR협상 당시 농산물 수입국 중심으로 농업의 비교역적 기능을 비교역적 관심사항(Non-Trade Concerns, NTC)이라고 명명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FTA 협상 과정에서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나 다원적 가치에 대한 논의들은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저탄소 녹색산업, 바이오에너지, 휴양공간, 도시농업, 귀농귀촌 확대 등 농업·농촌에 대한 새로운 수요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는 1990년대부터 2012년까지의 국민들의 의식조사에서도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를 인정하는 의견이 90%를 넘어서는 것에서 알 수 있다.
농업·농촌이 가지고 있는 식량안보, 환경보전, 지역사회 유지 및 사회경제적 기능, 경관 및 문화적 전통 유지, 국격제고 등 공익적 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는 어느 정도이며, 국민들은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살펴보고,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부의 역할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Research Background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hich in turn signifies economic values other than the production func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hat this means is that in addition to the production function of supplying food there are non-production functions related to food security,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of rural society and landscape. In order to build a national consensus on re-establishing the public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on establishing their future functions, it is necessary to present quantified economic values of the public functions.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t home and abroad on the public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the discussion trends of releva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bodies were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lso, expert meetings and policy councils were actively used to conceptualize the public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to draw policy measures.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experts and nationals to conceptualize the public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to identify the economic valu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virtual scenarios were set up an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was used to estimate the amount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WTP) for the public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elected five domains of the public value (environment conservation, maintenance of landscape and cultural tradition, enhancement of national prestige, local community maintenance and socio-economic functions, and food security) and 21 value items as components of the public value.
In a preliminary survey of the public's awareness of and willingness to pay for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e average price of each value item was calculated, and based on this average price, the base price was determined.
The average prices shown in the preliminary survey are as follows: 7,721 won for environment conservation, 7,235 won for maintenance of landscape and cultural tradition, 4,113 won for enhancement of national prestige, 4,638 won for local community maintenance and socio-economic functions, and 4,970 won for food security.
Based on the findings, the suggested prices for each domain were classified into seven groups.
Questions were asked to find out whether the respondents think there is public value in each domain.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is public value in all the domains, and only less than 1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is no public value. In addition, the respondents were asked whether they are willing to bear the special cost of maintaining and conserving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a half of the respondents are willing to bear the cost in all domains with the exception of the public value of enhancing national prestige.
On the question of which support method is most appropriate to share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67.9% of the respondents favored government fund and subsidy, whereas only 11.7% said that the cost should be borne by public contributions. As for the reason for not willing to bear the cost, 52.4% said that they can't afford the burden even though they wish they could. Only 0.8% said that they can't bear the burden "because there is no need to conserve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 economic assessment of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as conducted using a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ublic value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ranges from a minimum of 6,346.8 billion won to a maximum of 9,327.2 billion won.
The variables used to estimate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re as follows: suggested prices for willingness to pay, gender, age, monthly average income, level of education, current level of awareness of the public value, importance of future public value, level of awareness of the public value, level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in the national economy, willingness to move to a rural area, rural life experience, presence of a farmer in the family,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number of rural visits per year.
The Estimation Result 1 was calculated using all the variables listed above. The Estimation Result 2 was derived using only the variables that are significant in more than two domains in the estimation of Result 1.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hich is calculated based on Estimation Result 2, is estimated to range from a minimum of 6,346.8 billion won to a maximum of 9,327.2 billion won.
Researchers: Yong-Lyoul Kim, Hak-Kyun Jeong, and Ja-Hye Min
Research period: 2012. 5. - 2012. 12.
E-mail address: kimyl@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7434
-
좋아요3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수산식품 통계 및 통계 종합 DB 구축방안 연구
- 이전글
- 금산인삼약초산업 중장기 발전대책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