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수산식품 통계 및 통계 종합 DB 구축방안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수산식품 통계 현황
제3장 농수산식품 통계 수정, 보완 및 신규 통계 개발
제4장 농수산식품 통계 정보의 생산·이용 확대 방안
제5장 농수산식품 통계 종합DB 구축방안
제6장 신규 통계 및 통계종합 중장기 DB구축 로드맵
제7장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요약문
FTA 등 대내외 여건변화에 따라 우리 농정의 패러다임도 전환되고 있다. 이로 인해 농수산식품분야에 대한 정책과 사업도 많아지고 있으나, 이를 빠르게 뒷받침 할 수 있는 통계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다.
더욱 농어업 통계가 통계청으로 이관됨에 따라 정책적으로 필요한 신규통계 개발이 어렵고, 전산망 분리에 따른 내·외부 PC를 이용하여 농어업관련 통계 자료 수집·이용에도 어려움이 있다.
농어업관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는 농림수산식품부, 통계청, 농어업관련 부처 및 단체에서 제공하는 통계를 정리하였다. 통계 수요실태 조사를 통해 농림수산식품부, 통계청 등에서 제공하는 농어업관련 통계에 대한 수정, 보완되어야 할 내용을 정리하였다.
농정의 변화와 농업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에 의해 신규로 작성되어야 하는 통계, 농어업관련 법률 제정에 의해 신규로 작성되어야 하는 통계, 농림사업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신규통계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기존 여러 통계를 이용·가공하여 새로운 통계를 생산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이러한 통계를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계 종합 DB 구축이 필요하다. 통계 DB구축방안, 통계 DB구축 로드맵을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제시하였고 소요예산도 산출하였으며 통계 DB구축에 의한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The paradigm of Korea's agricultural policy is changing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he FTA.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policies and projects in the fields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However, statistical data are inadequate to deal with this changing trend.
The statistics on agriculture and fisheries has been transferred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it became difficult to develop a new statistics for policy development. Also, it is hard to collect statistical data on agriculture and fisheries u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PCs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computer network.
Method of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is twofold. First, we collected and analyzed preceding research data in the agriculture and fisheries statistics. Next,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s of 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and academic researchers were conducted.
Research Result
This research compiled statistical data of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agriculture-and- fisheries-related ministries and organizations. Through a survey of the demand for statistics, this study classified the statistical contents that need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In addition, new statistical data are compiled. This includes statistical data that need to be drawn up due to the paradigm shift of agriculture and changes in agricultural policy, statistical data that need to be newly prepared due to the legislation of agriculture-and- fisheries-related laws, and new statistical data that are needed to carry out projects in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sectors.
Meanwhile, a new method of creating new statistics by using and processing existing statistics is presented.
The schedule for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data base(DB)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s as follows:
ⅰ) Development of practical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of prior base for 4 years from 2014 to the end of 2017.
ⅱ) 1st phase construction of DB (2015).
ⅲ) 2nd phase construction of DB (2016).
ⅳ) Completion of DB (2017).
Implica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listed below.
ⅰ) Improved applic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of statistical data related to agriculture and fisheries will be possible.
ⅱ) The information system systematically combines the statistical data that are created and managed separately.
ⅲ) When designing a projec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basic data, budget, and the effect by utilizing the comprehensive data base.
ⅳ) Fast and precise identification of policy target audience, as well as prevention of overlapping beneficiaries, is possible.
Researchers: Yean-Jung Kim, Hyun-Tae Park, Su-Hyun Lim
E-mail address: yj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4160
-
좋아요0
-
다운로드3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기계 임대·은행사업 운영기관 일원화 방안
- 이전글
- 시대변화에 따른 농업·농촌의 공익적·경제적 가치 재조명